
부산언론인연합회 의뢰로 이너텍시스템즈가 지난달 25~26일 진행한 차기 부산시장 적합도 조사 결과,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46.6%의 지지율로 1위를 기록했다. 박 시장은 38.4%로 전 장관이 박 시장을 오차범위(±3.1%p) 밖에서 따돌렸다. 민주당 후보가 '보수 텃밭'인 현 시장을 앞선 것은 이례적이라는 분석이다.
정당 지지도 역시 초접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국민의힘은 40.4%, 민주당은 38.4%를 기록했다. 응답자 가운데 '지지 후보 없음(8.5%)', '잘 모름·응답거절(6.5%)' 등 유보층도 상당해, 향후 민심 향배가 유동적인 상황이다. 국민의힘 원내 지도부 관계자는 "부산뿐만 아니라 내년 지선에 있어 정치 지형은 불리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면서 "그렇기 때문에 공천에 있어 어려움을 뚫고 승리할 수 있는 사람을 선정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전국 여론에서도 비슷한 양상이 나타났다. 한국갤럽·세계일보가 지난달 29~30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정당 지지도는 민주당 45%, 국민의힘 28%로 민주당이 크게 앞섰다(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1%p). 하지만 내년 지방선거 후보 지지 의향에서는 민주당 44%, 국민의힘 39%로 격차가 오차범위 안으로 좁혀져, 실제 선거에서는 초접전이 예상된다.
국민의힘 내부 구도는 오히려 혼전 양상이다. 같은 조사에서 박 시장은 22.7%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조경태 의원이 16.2%, 김도읍 의원은 10.1%, 서병수 전 시장이 9.7%로 뒤를 이었다. 다만 '적합 인물이 없다'는 응답이 27.6%나 됐다. 이는 현직 시장의 존재감이 예전 같지 않다는 방증으로 풀이된다.
전 장관이 출마한다면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대표 성과로 내세울 것으로 보인다. 한 초선 의원은 "해수부 이전은 공무원 가족 대규모 이주가 수반되는 사안인데, 굳이 서두르는 것은 내년 지선을 노린 선거용 포석"이라고 분석했다. 다른 초선 의원은 "부산을 잃으면 보수 정치의 균열은 걷잡을 수 없을 것"이라고 의견을 더했다.
부산은 전통적으로 보수의 상징이자 부울경 전체 선거 구도의 풍향계 역할을 해왔다. 내년 지선에서 민주당이 부산을 탈환한다면 울산과 경남으로 이같은 바람이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다. 한 중진 의원은 아주경제와 만나 "사실상 경남도 명태균 리스크 얽혀 있어 아슬아슬하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번 부산 지역 조사는 부산시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1010명을 대상으로 무선 가상번호(70%)와 유선 RDD(30%)를 이용한 ARS 전화조사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3.1%,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기사에 인용된 여론조사들의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