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유니콘 '코히어'와 손잡은 LG CNS "기업 특화 AI에 자신"

  • 임은영 LG CNS 젠AI 사업담당·아이반 장 코히어 공동창업자 인터뷰

  • 기업용 AI 플랫폼 '에이전틱웍스'…금융권 중심 10여개 기업 PoC 진행

임은영 LG CNS 젠AI 사업담당(오른쪽)과 아이반 장(Ivan Zhang) 코히어 공동창업자(왼쪽)가 3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기자들과 만나 인터뷰하고 있다. [사진=LG CNS]
임은영 LG CNS 젠AI 사업담당(오른쪽)과 아이반 장(Ivan Zhang) 코히어 공동창업자(왼쪽)가 3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기자들과 만나 인터뷰하고 있다. [사진=LG CNS]

"코히어는 다른 기업들과 달리 기업간기업 거래(B2B) 비즈니스에 굉장히 집중하는 회사에요. 코히어와 협력을 통해 기업에 특화된 인공지능(AI) 서비스 구축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임은영 LG CNS 젠AI 사업담당은 3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기자들과 만나 "저희도 B2B를 하는 회사다 보니, 코히어와 잘 맞다고 판단해 파트너십을 체결하게 됐다"면서 글로벌 AI 유니콘 기업 코히어와의 협력 배경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아이반 장(Ivan Zhang) 코히어 공동창업자도 LG CNS와의 협력에 대해 "한국에는 AI 기술을 빠르게 접하는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가 많고, 관련 수요도 높은 편"이라면서 "LG CNS와 한국에서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확장하는 것은 그렇게 어려운 결정은 아니었다"고 밝혔다. 이어 "LG CNS의 강점은 금융·공공·제조 등 규제가 많은 산업 환경에서 AI를 안정적으로 적용해왔다는 것"이라면서 B2B 기업으로서 LG CNS의 역량을 높게 평가했다.

LG CNS는 코히어와 협력해 기업용 AI 플랫폼 '에이전틱웍스'를 출시했다. 이는 에이전틱 AI 서비스의 설계부터 구축·운영·관리까지 전주기를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코딩 기반 '빌더' △노코드 개발 환경 '스튜디오' △데이터 전처리를 돕는 '지식 저장소' △AI 에이전트와 기업 시스템 간 연동을 지원하는 '허브' △산업별 AI 모델 고도화를 위한 '리파이너' △최적의 AI 모델을 자동 선택하는 '라우터' 등 현재 6개 모듈로 구성돼 있다.

임 담당은 "기업 상황에 맞게 모델 파인튜닝도 해주고, AI 플랫폼도 수정해 주고 있다"면서 "6개의 모듈로 제공하는 이유도 기업이 원하는 기능만 골라서 이용할 수 있도록 선택의 폭을 높인 것"이라고 밝혔다. 일례로 개발자가 없는 작은 회사일 경우, 스튜디오 기능만 활용해 AI 에이전트를 쉽게 개발할 수도 있다.

특히 폐쇄 환경에서만 AI 개발이 가능한 금융권에서 관심이 높다. 임 담당은 "금융권은 망분리가 원칙이기 때문에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구동돼야 한다"면서 "거버넌스 규정이 많은 금융 고객사의 경우, 이러한 플랫폼 형태를 선호하는 이유"라고 밝혔다.

이어 "설치형으로 제공하고 있어, 플랫폼을 설치하면 기업 고객이 원하는 에이전트를 빠르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면서 "보안성이 강화된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성능 좋은 모델과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에 주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금융권을 중심으로 10여개 기업과 개념검증(PoC)을 진행하고 있다. 임 담당은 "새로운 기술이 나올 때마다 빠르게 반영하고 신규 모듈을 추가하는 등 플랫폼을 고도화해 나갈 것"이라면서 "에이전틱 플랫폼 시장을 선점하는 것이 목표이고, 코히어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향후 글로벌 시장 개척도 논의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