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세훈 서울시장은 29일 '신통기획 시즌2'를 발표하고 2031년까지 31만 가구 착공, 2035년까지 37만7000가구 준공 목표를 세웠다.
특히 착공 목표 중 64%인 19만8000가구가 강남 3구를 포함한 한강벨트 지역에 포진했다. 오 시장은 "9·7 공급대책은 이미 실패한 공공 위주의 방식을 반복하고 있어, 핵심지에 대한 공급 대책이 없다"며 "원하는 지역에 충분한 물량을 공급하는 게 시장을 안정시키는 길"이라고 취지를 밝혔다.
이날 발표는 △사업시행인가 △관리처분인가 △이주·해체 등 3단계에서 각종 인·허가 규제를 간소화하는 게 핵심이다. 오 시장은 인허가 규제 과정을 '병목 현상'이라고 꼬집으며 8가지 대책으로 구체화했다고 밝혔다.
10% 미만의 용적률·건폐율 등 경미한 정비계획 변경 권한은 자치구에 전부 넘긴다. 조합원 분양 공고 전 시행하던 '추정 분담금 검증 절차'는 관리처분 단계의 중복 검증을 폐지해 4회에서 3회로 줄인다.
서울도시주택개발공사(SH)는 내년 상반기부터 한국부동산원만 하던 관리처분 계획 타당성 검증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를 밟는 정비사업장이 늘어나면서, 일손을 확충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라는 게 시의 설명이다.
주민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세입자에게도 이주비용을 보상한다. 조합이 추가 보상을 하면 그만큼 용적률 인센티브로 돌려주는 방식이다. 해체 종합계획서는 정비구역 내 전체 건축물 대신, 실제 철거가 필요한 구역만 작성하고 심의받도록 한다.

시는 앞서 발표한 신통기획과 규제 철폐안에 더해 정비계획을 1년 더 줄일 수 있다고 봤다. 통상 구역지정부터 준공까지 18년 6개월이 걸리는데, 12년까지 단축 가능하다는 것이다. 구역지정이 완료된 사업장에 이 같은 방안을 적용하면 2년 안에 착공한 후 준공까지는 4년이 걸린다고 계산했다.
이에 따라 2031년 착공하는 정비사업장은 31만 가구에 이를 것이라는 관측이다. 신통기획 적용 전에 비해 11만2000가구가 늘어나는 셈이다. 10년 후 준공 물량은 신통기획 외에 모아타운·소규모 재건축 등을 포함해 37만7000가구가 된다.
오 시장은 한강벨트 집값을 자극한다는 우려에 "서울시는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 확대 지정 계획이 없다"고 단언했다. 또 토허구역 전 단계인 투기 과열지구·조정지구·투기지구 등 조정에는 정부와 협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