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뒤흔들 2026년, 키워드는 휴먼인더루프"

  • <트렌드 코리아 2026> 출간

  • "인간 고유 역량·AI 압도적 능력 지닌

  • 하이브리드 전문가 두각 나타낼 것"

김난도  사진미래의 창
김난도 교수가 24일 서울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트렌드코리아 2026> 출간 기자간담회에서 책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미래의 창]


“모든 것을 휩쓴 하나가 있어요. 바로 인공지능(AI)이죠.”
 
김난도 교수는 24일 서울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트렌드코리아 2026> 출간 기자간담회에서 “AI가 경제를 비롯해 전쟁 등 트렌드에 영향을 줄 요소와 이벤트 모두를 압도했다. 지난 19년간 이런 일은 없었다”며 이처럼 말했다.
 
<트렌드코리아 2026>은 2026년 10대 소비트렌드 키워드로 △휴먼인더루프 △필코노미 △제로클릭 △레디코어 △AX조직 △픽셀라이프 △프라이스 디코딩 △건강지능 HQ △1.5가구 △근본이즘을 제시했다.
 
핵심 키워드는 휴먼인더루프다. 휴먼인더루프란 AI가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 인간이 적어도 한 번은 개입해야 한다는 원칙이다. 김 교수는 “인간과 AI가 서로 적절한 역할 분담을 통해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운영 철학을 휴먼인더루프라고 부를 수 있다”며 “AI는 절대 만능이 아니다. 적절히 이용할 때 AI가 우리 생산성을 도울 수 있지만 과신하고 과용하면 낭패를 볼 것으로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에게 필요한 역량은 무엇이고,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가 더 중요한 이슈"라며 "AI 활용에도 양극화가 있다. 전문성이 떨어지는 사람은 생산성이 떨어진다”고 부연했다. 
 
김난도 교수 사진미래의 창
김난도 교수 [사진=미래의 창]

 그는 AI 시대에는 반인반마 켄타우로스처럼 인간 고유의 역량과 AI의 압도적인 능력을 결합해 새로운 차원의 가치를 창출하는 하이브리드형 전문가가 두각을 나타낼 것으로 봤다. 

이 밖에도 검색하면서 이것저것 클릭할 필요 없이 AI추천으로 쇼핑을 끝내는 제로클릭, AI 사용에 특화된 슬림한 조직인 AX조직 등도 AI의 영향을 보여준다.
 
김 교수는 "AI 확산으로 채용이 줄어들면서 취업준비생들과 신입직원이 피해를 보고 있다”며 “조직이 전문성을 갖춘 인재를 기르지 않으면 AI만 가지고 업무가 돌아가지 않는다. 이 철학에 대한 사회적 합의, 정책적 대응, 회사의 발상 전환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AI와 가장 대척점에 있는 키워드는 근본이즘이다. 이는 고전적인 가치와 믿을 수 있는 원조가 주는 안정감과 만족을 추구하는 트렌드를 뜻한다. 김 교수는 “젊은 사람들이 박물관에 많이 간다”며 “AI가 가짜를 진짜처럼 만들어내는 시대에 세상에 단 하나뿐인 진짜를 보러 가는 게 아닌가 싶다”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간담회 말미에 이세돌 9단이 알파고를 이긴 4국 78수를 강조했다. "4국 78수는 인간이 역사에서 단 한 번 AI를 이겨본 전무후무한 것이죠. 이세돌은 자서전에서 결국 인생이란 나다운 수, 인간적인 수를 찾아가는 것이라고 말했어요. 당신은 자신만의 78수, 가장 나다운 수를 갖고 있습니까?"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