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든 것을 휩쓴 하나가 있어요. 바로 인공지능(AI)이죠.”
김난도 교수는 24일 서울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트렌드코리아 2026> 출간 기자간담회에서 “AI가 경제를 비롯해 전쟁 등 트렌드에 영향을 줄 요소와 이벤트 모두를 압도했다. 지난 19년간 이런 일은 없었다”며 이처럼 말했다.
<트렌드코리아 2026>은 2026년 10대 소비트렌드 키워드로 △휴먼인더루프 △필코노미 △제로클릭 △레디코어 △AX조직 △픽셀라이프 △프라이스 디코딩 △건강지능 HQ △1.5가구 △근본이즘을 제시했다.
그는 “우리에게 필요한 역량은 무엇이고,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가 더 중요한 이슈"라며 "AI 활용에도 양극화가 있다. 전문성이 떨어지는 사람은 생산성이 떨어진다”고 부연했다.

그는 AI 시대에는 반인반마 켄타우로스처럼 인간 고유의 역량과 AI의 압도적인 능력을 결합해 새로운 차원의 가치를 창출하는 하이브리드형 전문가가 두각을 나타낼 것으로 봤다.
이 밖에도 검색하면서 이것저것 클릭할 필요 없이 AI추천으로 쇼핑을 끝내는 제로클릭, AI 사용에 특화된 슬림한 조직인 AX조직 등도 AI의 영향을 보여준다.
김 교수는 "AI 확산으로 채용이 줄어들면서 취업준비생들과 신입직원이 피해를 보고 있다”며 “조직이 전문성을 갖춘 인재를 기르지 않으면 AI만 가지고 업무가 돌아가지 않는다. 이 철학에 대한 사회적 합의, 정책적 대응, 회사의 발상 전환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AI와 가장 대척점에 있는 키워드는 근본이즘이다. 이는 고전적인 가치와 믿을 수 있는 원조가 주는 안정감과 만족을 추구하는 트렌드를 뜻한다. 김 교수는 “젊은 사람들이 박물관에 많이 간다”며 “AI가 가짜를 진짜처럼 만들어내는 시대에 세상에 단 하나뿐인 진짜를 보러 가는 게 아닌가 싶다”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간담회 말미에 이세돌 9단이 알파고를 이긴 4국 78수를 강조했다. "4국 78수는 인간이 역사에서 단 한 번 AI를 이겨본 전무후무한 것이죠. 이세돌은 자서전에서 결국 인생이란 나다운 수, 인간적인 수를 찾아가는 것이라고 말했어요. 당신은 자신만의 78수, 가장 나다운 수를 갖고 있습니까?"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