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5년간 소방공무원 절반 가까이가 건강 이상 판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상담과 정신건강 진료 수요도 급증하면서 소방관들의 열악한 근무환경과 건강 문제에 대한 국가 차원의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정춘생 조국혁신당 의원이 소방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소방공무원 특수건강진단 결과 매년 검진자 절반이 ‘건강 이상’으로 분류됐다. 지난해에는 검진 인원 6만6609명 중 74%(4만9232명)가 건강 이상 판정을 받았다.
구조·구급·화재 현장에서 반복적으로 마주하는 외상과 트라우마가 소방관들의 신체와 정신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심리상담 수요도 빠르게 늘었다. 소방공무원 심리상담 사업인 ‘찾아가는 상담실’ 상담 건수는 2020년 4만8026건에서 2024년 7만9453건으로 5년 새 65% 증가했다. 정신건강 진료비 지원 건수도 매년 7000건 이상 발생했으며 지난해에는 7635건에 달했다.
자살로 생을 마감한 소방공무원도 적지 않다. 2022년 자살자는 21명으로 10만명당 자살률이 31.5명에 이르렀다. 이는 같은 해 일반 국민 평균(25.2명)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지난해에도 17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집계됐다.
정춘생 의원은 “국민 생명을 지키기 위해 최전선에서 헌신하는 소방관들이 정작 본인 건강과 생명을 지켜내지 못하는 현실은 국가의 방임”이라며 “참사 현장에서부터 재난참사 전문의를 투입하거나 건강정밀진단 의무화를 비롯해 복잡한 공상·순직 인정 절차를 간소화하는 등 국가 차원의 종합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