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업계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이날 일본과 중국산 탄소강 및 합금강 열연 제품에 대해 잠정 덤핑방지 관세를 부과했다. 트럼프발 관세 리스크까지 겹친 상황에서 철강산업을 보호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열연강판은 철강 판재를 고온에서 가열한 다음 납작하게 펴는 압연 공정을 거쳐 만든 강판으로 자동차 차체의 프레임, 조선·해양 선박의 외판 및 내부 구조물 등 산업 전반에 두루 쓰인다.
앞서 현대제철은 지난해 12월 중국산 일본산 열연강판이 비정상적으로 낮은 가격에 국내로 유입되고 있어 가격경쟁력 약화가 심각하다며 반덤핑 제소에 나선 바 있다.
이번 조치로 일본과 중국산 열연 제품에 대해 최대 33.57%의 잠정 덤핑방지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다. 나라별 잠정관세율을 살펴보면 △일본 JFE스틸 33.57% △닛폰스틸 31.58% △기타 32.75%이며, 중국은 △바오산강철 29.89% △벤강 28.16% △기타 주요 수출자 및 무역상 33.10%가 책정됐다. 부과 기간은 이날부터 2026년 1월 22일까지다.
철강 업계는 정부의 이번 조치로 인해 국내산 열연 제품에 대한 가격 경쟁력 회복과 실적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 특히 국내 주요 열연 생산업체인 포스코와 현대제철이 최대 수혜주로 꼽히고 있다. 포스코는 국내 열연강판 시장에서 약 80%의 점유율을 점하고 있으며, 매출에서 열연강판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23.4%다. 현대제철 역시 매출에서 열연이 차지하는 비중은 절반 가까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는 이미 이달부터 열연강판 가격을 t당 3만원 인상했다. 정부의 잠정 반덤핑 관세 조치로 수입 열연 제품이 줄어들 것을 예상한 조치다. 현대제철은 앞서 8월 출고 가격을 한 차례 올린 바 있다.
한 철강업계 관계자는 "이번 열연 반덤핑 예비판정은 정부에서 철강업계의 어려움과 산업 경쟁력을 고려한 판단이라고 생각한다"며 "이번 판정을 통해 불공정 거래의 관행이 없어지고 국내 철강 시장이 정상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