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미 상·하원 의원들에 "양국 관세, '상업적 합리성' 방식 해결될 것"

  • 영 킴 하원 외무위 동아태소위원장 등 4명 접견

  • "트럼프 회담 통해 동맹 진화할 기반 마련됐다"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을 방문한 이재명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뉴욕의 한 호텔에서 열린 동포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을 방문한 이재명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뉴욕의 한 호텔에서 열린 동포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80차 유엔 총회 참석을 위해 미국을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이 상·하원 의원들을 만나 양국의 관세 협상 등 경제 분야, 한반도 문제 등 안보 분야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관세와 관련해서는 양국 간 '상업적 합리성'을 중점으로 협상하고 있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영 킴 하원 외무위 동아태소위원장(공화·캘리포니아), 진 섀힌 상원 외교위 간사(민주·뉴햄프셔), 크리스 쿤스 상원의원(민주·델라웨어), 그레고리 믹스 하원 외무위 간사(민주·뉴욕) 등 4명과 접견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성공적인 정상회담을 통해 한·미 동맹이 안보, 경제, 첨단 기술을 포함한 제반 분야에서 '미래형 포괄적 전략 동맹'으로 진화해 나갈 기반이 마련됐다"면서 양국이 미래 지향적 협력을 더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미 의회 차원의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미 의원들은 이 대통령 예방을 위한 의원단이 미 상·하원, 공화·민주당을 포함해 구성된 것에 대해 "굳건한 한·미 동맹에 대한 미 의회의 강력한 지지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지난달 한·미 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개최된 만큼 앞으로 조선, 바이오, 방산 분야 등에서 양국의 산업·기술 협력이 더 공고해질 수 있도록 의회 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화답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한·미 간 관세 협상 과정에서 한국의 외환 시장에 불안정이 야기될 우려가 있지만, 결국 양측이 '상업적 합리성'이 보장되는 방식으로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전날 로이터와의 인터뷰를 통해 한국이 미국에 35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한 것에 대해 양국은 투자 프로젝트가 상업적으로 타당해야 한다는 데 서면 합의했지만, 세부 사항 조율이 어렵다는 취지로 말했다.

이에 대해 "'상업적 합리성'을 보장하는 세부 합의에 도달하는 것이 핵심 과제이자 최대 걸림돌"이라면서 "실무 협상에서 제시된 안들은 상업적 타당성을 보장하지 못해 간극을 메우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통화 스와프 없이 미국이 요구하는 방식대로 3500억 달러를 현금으로 미국에 투자한다면 한국은 1997년 외환 위기 때와 같은 상황에 직면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접견에서 최근 조지아주에서 우리 전문 인력이 이민 당국으로부터 구금된 사태가 재발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미 의원들도 비자 제도 개선 필요성에 공감을 나타내고, 양국 정부의 비자 개선 노력이 '한국 동반자법(Partner with Korea Act)'의 의회 통과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를 표명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내용대로 북·미 대화 재개와 한반도 평화 구축을 위해 적극적으로 협력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하고, 이에 대한 미 의회의 관심과 협력도 요청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