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무형문화축제 27일 개막…조선시대 혼례도 보고 판소리도 듣는다

  • 27일부터 28일까지 남산골 한옥마을, 서울남산국악당, 천우각 일대서

서울무형문화축제
 
서울시는 오는 27일부터 28일까지 남산골 한옥마을, 서울남산국악당, 천우각 일대에서 ‘2025 서울무형문화축제’를 개최한다고 22일 밝혔다. 

올해 축제는 ‘혼례령: 도성에 내리는 예식의 날’을 주제로, 조선시대 혼례 문화를 현대적 감각으로 풀어낸다. 

축제는 27일 오전 11시 조선시대 복식을 차려입은 관리의 혼례령 낭독으로 개막한다. 마지막 날인 28일 오후 4시에는 화려한 혼례 퍼포먼스로 대미를 장식한다. 축제장 곳곳에서는 관리와 마을 사람들이 혼례 준비 과정을 익살스럽게 재현한다. 

서울남산국악당에서는 양일간 오후 3시부터 4시까지 전통 공연이 이어진다. 한량무 보존회 공연을 비롯해 시조, 판소리 수궁가와 고법, 춘앵전, 송서, 흥보가 등을 즐길 수 있다. 천우각 무대에서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5시까지 결련택견, 민속무술, 마들농요, 농악, 수표교다리밟기 등 다채로운 공연이 열린다. 특히 재담소리와 판소리·재즈 트리오 협연 무대는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남산골 한옥마을 곳곳에서는 장인들의 시연과 체험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나전장 체험 부스에서는 자개를 붙여 손거울, 목걸이, 브로치를 만들 수 있으며 전상규 필장은 붓 제작 과정을 시연해 관람객이 직접 붓을 제작하고 서예 문화를 체험하도록 돕는다. 민화장 체험 부스에서는 까치호랑이 민화를 비단부채에 채색할 수 있으며 김창식 소목장은 전통 목공예 기법을 소개한다. 또한 향온주의 누룩 밟기 체험, 자수·칠화·옥·매듭·홍염 등 전통 공예 시연과 전시가 이어진다. 석조 예술작품 전시와 전통주 시음 부스도 운영된다.

천우각 광장과 전통공예관 앞에서는 한지공예, 금속공예, 짚풀공예, 약선음식 만들기, 전통차 시음, 꽃 전시와 기념사진 촬영, 막걸리 빚기 체험 등 생활 속 전통문화 체험이 가능하다. 윤택영 재실 입구에는 전통 혼례상이 상시 전시된 포토존이 마련됐다. 일반인 사연을 받아 진행되는 혼례식 퍼포먼스도 예정돼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