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원특례시가 관내 중소기업의 글로벌 탄소규제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정부 공모사업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시는 “탄소중립 설비 및 디지털 MRV 보급지원” 공모사업에 9개 기업이 최종 선정돼 총 사업비 7억 2,800만 원을 확보했다고 16일 밝혔다. 이 가운데 국비는 5억 3200만원 규모다.
이번 지원사업은 오는 2026년 본격 시행되는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조치로, 수출 비중이 높은 지역 중소기업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맞춤형 지원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시는 “탄소중립 설비투자 지원”과 “디지털 기반 MRV 보급사업” 두 축을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한다.
우선 탄소중립 설비투자 지원사업을 통해 선정된 1개 기업은 국비 1억 원을 지원받아 노후화된 에어방식 설비를 전기방식으로 교체한다. 이 과정에서 에너지 손실을 줄이고 연간 168.3tCO₂-eq 수준의 탄소저감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디지털 기반 자동화 MRV 보급사업에는 8개 기업이 참여한다. 이들은 국비 4억 3200만원을 지원받아 계측기와 통신장비, 배출량 산정 소프트웨어(S/W) 구축, 전문기관 검증 등을 지원받는다.
이를 통해 배출량 측정(Measurement)·보고(Reporting)·검증(Verification)이 가능한 통합 시스템을 갖추고, 국제 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창원시는 이번 성과를 이끌어내기 위해 기업들의 공모신청 단계부터 컨설팅과 현장평가를 지원하며 실질적인 경쟁력 확보를 도왔다. 또 탄소중립지원센터와 협력해 참여기업 대상 현장 컨설팅과 규제 대응 교육·세미나를 열어 탄소중립 전략 전반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이유정 창원시 기후환경국장은 “글로벌 탄소규제가 강화되는 상황에서 수출 중소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배출 감축과 관리 역량 강화가 필수적”이라며 “이번 성과는 시의 선제적 대응과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가 이뤄낸 결과”라고 말했다. 이어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시민과 기업 모두의 공감과 협조가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창원시는 이번 성과를 계기로 중소기업의 탄소저감 설비 투자와 디지털 관리 체계를 더욱 확산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