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내년 3월까지 자국 기업을 대상으로 해저케이블, 중계기, 제어장치 등 통신 체계 전반에 중국산 부품이 포함돼 있는지를 조사할 계획이다. 이후 중계기 등 중요 부품에서 중국산이 확인되면 조달처 전환을 권고할 방침이다.
세계 해저케이블 시장은 NEC(일본), 서브컴(미국), 알카텔(프랑스) 등 3대 업체가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나, 최근 화웨이 산하였던 중국 HMN의 존재감이 커지고 있다.
일본 정부는 미국이 공급망에서 중국 기업을 배제하는 가운데, 새 규제로 인해 자국 기업의 수출이 위축될 경우 미 연방통신위원회(FCC)에 완화를 요구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닛케이는 일본 정부가 도·감청 차단과 경제안보 강화를 위해 이 같은 점검에 나섰다고 전했다. 실제로 2023년 오키나와 주둔 미군 대상 영문 매체는 오키나와 인근 해역의 케이블에서 중국제 도청 장치가 발견됐다고 보도한 바 있다.
또한 지난해 말부터 대만 주변과 발트해에서 해저케이블 손상 사건이 잇따른 것도 이번 조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닛케이는 "섬나라인 일본은 국제통신의 99%를 해저케이블에 의존한다"며 "손상 시 복구에 시간이 걸리면 국민 생활과 경제 활동에 큰 영향을 줄 수 있고, 금융 거래 등에서는 통신이 약간만 지체돼도 치명적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해저케이블은 경제안보의 생명선이지만 수익성이 낮은 사업이라는 점에서 이번 조사가 정부가 국내외 기업 동향을 파악해 지원책을 찾는 목적도 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일본 정부는 2026년 통상국회에서 경제안보추진법을 개정해 해저케이블 정비 등 서비스 분야까지 재정 지원을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