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한 전 대표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자신에 대한 특검의 강제구인 시도를 더불어민주당이 적극 편들고 나섰다고 주장하면서 작년 12월 4일 새벽 국회 본회의에서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표결이 늦어진 이유를 물었다.
그러면서 "우 의장이 그날 계엄 해제 정족수가 찼음에도 왜 바로 표결 안 한 것인지 묻는다"며 "숲에 숨어있던 이재명 당시 민주당 대표가 본회의장에 도착할 때까지 표결을 미루고 기다린 것은 아닌지"라고 전했다.
이에 우 의장은 SNS에 "국회의장이 (본회의) 개회 시간을 정하는 것은 혼자 하는 게 아니다. 교섭단체 대표들과 협의를 해야 한다"며 "국민의힘 추경호 (원내)대표 등과 최종 협의를 마친 시간이 새벽 1시였다. 협의한 시간이 새벽 1시인데, 특별한 사정 변경 없이 정족수가 찼다고 의장이 마구 시간을 변경하면 절차 위반이 된다"고 말했다.
그러자 한 전 대표는 "'국회의원을 안 해봐서 그러나'라는 말은 평소 우 의장 인품 생각하면 국민이 보기에 참 실망스러운 말씀"이라며 "표결 지연의 진실이 명확히 규명돼야 한다. 당시 우리 당 의원과 민주당 의원들도 즉시 표결하라고 격렬히 항의했던 것이 영상에 남아있다. 그분들도 국회의원을 안 해봐서 그랬던 것인가. 추 원내대표가 (개회에) 동의 안 하면 계엄 해제 표결 안 하려 했던 것인가"라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