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 서울연구원은 '2024년 서울복지실태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소득분포 5분위 가구(상위 20%)의 평균 총소득은 1억2481만원으로 1분위 가구(하위 20%) 2704만원의 4.6배다.
이는 연구원이 2024년 9월 2일부터 10월 31일까지 두 달간 서울에 거주하는 3004가구를 조사한 결과로 표본집단의 총소득 평균은 6423만원이다. 평균값이 중위수(5800만원)보다 커 저소득자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도 분석됐다.
특히 조사 대상의 7.3%는 돈이 없어서 집세나 공과금, 공교육비를 제대로 내지 못하거나 겨울에 난방을 못 하고 아플 때 병원에 가지 못하는 등의 결핍 상태를 한 번이라도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조사 대상의 2.3%는 균형 잡힌 식사가 불가하거나 여가 활동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등 사회적·물질적 박탈로 인한 결핍 수준이 높아 '빈곤층'으로 분류됐다. 해당 박탈률은 70대 이상 응답자(5.3%)가 높았다.
월평균 생활비 지출액은 비빈곤층이 286만원으로, 115만원인 빈곤층(가구소득이 중위소득 50% 이하)의 2.3배다.
반대로 월평균 의료비 지출액은 비빈곤층 3만5000원, 빈곤층 4만2000원으로 빈곤층이 더 많았다. 의료비 지출이 부담된다고 응답한 비율도 빈곤층(37.0%)이 비빈곤층(16.7%)보다 높게 나타났다.
가구 자산 총액 평균은 6억원, 평균 부채는 4500만원, 순자산은 5억6000만원이다.
전체 가구의 38.9%가 부채를 갖고 있으며 가구당 평균 부채 금액은 1억1565만원이다. 부채를 보유한 가구의 절반 이상(58.3%)이 상환에 부담을 느낀다고 응답했다.
마음건강 영역에서는 최근 1년간 우울 증상을 느낀 응답자는 23.6%다. 연령대별로는 노년 32.6%, 중장년 25.8%, 기타(40대) 25.1%, 청년 17.9% 순이다.
7.7%는 사회적 고립감을 느끼고 46.6%는 외로움 느낀다고 답했다. 연령대별 외롭다고 느끼는 비율은 노년(62.0%), 중장년(54.0%), 기타(40대·44.9%), 청년(36.5%) 순이다.
15∼29세 청년 중 취업도, 교육도, 훈련도 받지 않는 '니트(NEET)족'은 4.6%로 파악됐다. 2022년 조사 당시(3.6%)보다 높아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