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이민 당국에 구금된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의 석방과 귀국 문제 협의를 최종 조율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 중인 조현 외교부 장관이 예정보다 하루 늦은 10일(현지시간) 카운터파트인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 면담한다.
한·미 양국 외교장관 회담이 개최되는 이날은 미국 조지아주 현대자동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HL-GA)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지난 4일 이뤄진 미 이민당국의 전격 단속에 체포된 한국인 근로자들이 구금 시설에서 풀려나 '자진 출국' 형태로 전세기를 타고 귀국하기로 예정된 날이었으나 갑작스러운 미국 측 사정으로 미뤄졌다.
앞서 구금된 근로자들은 미뤄진 회담 일정과는 관계없이 애틀랜타 공항에서 10일 오후 2시 30분(이하 현지시간·한국시간 11일 오전 3시 30분) 전후 출발할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전세기 출발이 취소되면서 조 장관은 루비오 장관과 만나 비자 문제와 더불어 석방과 귀국 문제 협의를 재조정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는 10일(한국시간) 오후 "조지아주에 구금된 우리 국민들의 10일 출발은 미국 측 사정으로 어렵게 됐다"고 전했다. 이어 "가급적 조속한 출발을 위해 미국 측과 협의를 유지하고 있다"며 변동 사항이 있으면 알리겠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회담이 하루 늦어지면서 전세기 출발도 이 때문에 불발된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오지만 외교 관계자 등은 "회담이 미뤄진 것과 전세기 출발 지연은 전혀 개연성이 없다"고 강조했다.
앞서 조 장관은 9일 워싱턴 DC 주재 한국 기업 대표들과 간담회를 개최하고 이번 조지아주 단속과 관련한 비자 문제를 포함한 애로사항과 건의사항을 청취했다.
조현 장관은 "정부가 조지아주에서 구금된 우리 국민들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귀국시키고, 향후 이들이 미국에 재입국할 때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모든 노력을 최우선적으로 기울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기업 측은 "한국인 전문인력 대상 별도 비자(E-4 비자) 쿼터 신설, 대미 투자 기업 고용인 비자(E-2 비자) 승인율 제고 등을 위해 노력해 달라"고 했다. 이어 "단기적으로 한국 기업 직원이 미국 출장 시 주로 발급받는 단기 상용 비자(B-1 비자)에 대한 미 정부의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재확인해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미 양국 정부가 적극 협의해 달라"고 요청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