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관영매체 "韓반도체, 美의존도 줄이고 中과 협력 강화해야"

  • 블룸버그 "美, 삼성·SK 반도체장비 中반출 연간 허가 검토"

  • 韓반도체 불확실성 커져...공동 전략 모색해야

사진글로벌타임스 기사 갈무리
[사진=글로벌타임스 기사 갈무리]


미국이 한국 반도체 기업의 대중국 장비 반출을 연간 단위로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중국 관영 매체는 한국 반도체 업계가 미국에 대한 과도한 의존도를 줄이고 중국과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9일(현지시간) 논평을 통해 "미국 정부가 올해 말 만료 예정인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 지정 철회 이후 도입할 새로운 조치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불분명하지만, 중국 내 한국 반도체 공장이 미국의 추가적인 규제 압박에 직면하는 것은 확실해 보인다"고 보도했다.

앞서 블룸버그통신은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삼성전자·SK하이닉스의 중국 내 공장에 대한 미국산 반도체 제조 장비 반출을 연간 단위로 승인하는 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 한 바 있다. 삼성전자 등은 미국 정부의 VEU 명단에 포함돼 미국산 장비의 중국 반출에 문제가 없었지만, 트럼프 행정부 들어 이 명단에서 제외된 상태다.

글로벌타임스는 "이는 한국 반도체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을 점진적으로 약화시킬 것"이라면서 "한국 기업들이 미국의 압박으로 인해 중국 내 전략을 조정해야 할 경우, 중국 시장 점유율 하락뿐만 아니라 글로벌 산업망 내 위상까지 위협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의 제재로 중국 내 한국 공장들이 생산장비 업데이트와 공정 개선이 지연될 수 있고 빠른 속도로 진화하는 중국 시장 수요에 뒤쳐져 대응력이 약화되고 궁극적으로 글로벌 경쟁력이 훼손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매체는 그러면서 "미국에 대한 과도한 의존은 상당한 위험을 수반하고 전략적 취약성을 증가시켜 한국을 더 수동적인 위치에 놓이게 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면서 "한국으로서는 균형 잡힌 접근을 적극 모색하는 것이 국익에 부합하고, 중국 파트너와의 협력을 강화해 효과적 전략을 공동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는 중국에 대한 연구개발(R&D) 투자 확대, 중국 현지 장비 제조업체 및 자재 공급업체와의 협력 강화, 현지 공장 가동률 제고 등을 통해 지정학적 요인에 따른 공급 리스크를 줄이고, 한국 기업이 중국 반도체 산업망에 통합돼 중국 시장과의 심화적 연계를 이뤄야 한다는 설명이다. 매체는 또 "외부의 정책 위험에 대응해 한중 양측이 시장 정보와 경험을 공유하기 위한 공동 연구소나 산업 연합(industrial alliances) 등 더 밀접한 협력 메커니즘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글로벌타임스는 "한국은 산업적 이익과 글로벌 경쟁력을 지키기 위해 더 독립적·탄력적 전략을 만들 필요가 있다"면서 "협력을 저해하는 미국의 일방주의·보호주의적 접근과 달리 중국은 한미 등과의 상생 협력에 언제나 열려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