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 美제약사와 1.8조 규모 초대형 위탁생산 계약

  • 지난 1월 유럽 제약사와 2조 계약 이어 '쾌거'

  • 창립 이래 두번째 규모 초대형 수주계약

  • 관세 압박 따른 수출 환경 위축에도 경쟁력 입증

 
삼성바이오로직스 연간실적 추이 그래픽아주경제
삼성바이오로직스 연간실적 추이 [그래픽=아주경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최근 미국 행정부의 관세 압박에 따른 대미 수출 환경 위축에도 미국 현지 제약사와 약 1조8000억원 규모의 초대형 위탁생산 계약을 맺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입증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미국 소재 제약사와 12억9464만달러(약 1조8001억원) 규모의 위탁생산(CMO) 계약을 체결했다고 9일 공시했다. 계약 기간은 2029년 12월 31일까지다. 고객사·제품명은 비밀 유지 조항에 따라 공개되지 않았다.

이번 계약은 지난 1월 유럽 제약사와 맺은 약 2조원 규모 계약에 이어 창립 이래 두 번째 규모의 초대형 수주 계약이다. 이번 계약으로 올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누적 수주 금액은 5조2435억원에 달해 지난해 연간 수주 금액(5조4035억원)에 육박했다. 창립 이래 누적 수주 총액은 200억달러를 넘어섰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경기 둔화, 관세 영향 등 바이오 업계 전반의 경영 불확실성이 날로 커지는 상황에서도 연이은 대형 계약을 따내며 경쟁력과 시장의 신뢰를 다시 한번 입증했다고 전했다.

이번 성과는 세계 최대 생산능력(78만4000ℓ)과 글로벌 규제기관 승인 트랙레코드(382건)에 기반한 안정적인 품질 역량이 관세 리스크를 넘어서는 차별적 경쟁력으로 작용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생산 능력과 품질, 다수의 트랙레코드를 핵심 경쟁력으로 앞세워 올해 미국, 유럽, 아시아 등 글로벌 전역에서 다수의 신규 계약을 따냈다. 증가하는 바이오의약품 수요에 대비하기 위해 생산능력도 끌어올리고 있다. 5공장은 1~4공장의 최적 사례를 집약한 18만ℓ 규모 생산공장으로 지난 4월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품질 경쟁력 측면에서도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 글로벌 규제기관으로부터 2025년 9월 기준 총 382건의 제조 승인을 획득했다. 승인 건수는 생산능력 확대에 따라 지속 증가하고 있으며, 규제기관 실사 통과율도 업계 최고 수준을 유지 중이라는 설명이다.

한편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기존 ‘톱 20’ 고객사에서 ‘톱 40’까지 주요 고객군을 넓혀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지난 1월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 3월 디캣 위크, 6월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 USA) 등에서 다양한 고객사들을 만났으며, 7월 열린 '인터펙스 위크 도쿄 2025'에도 참가해 수주 경쟁력을 알렸다.

삼성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오는 10월 개최되는 아시아 최대 바이오 행사 '바이오재팬 2025' 및 'CPHI 월드와이드' 등에서도 글로벌 고객 및 잠재 고객과의 접점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