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ETF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금융감독원이 투자자들에게 ‘ETF 기본기를 반드시 확인하라’고 경고했다.
금감원은 9일 “ETF는 저비용·분산투자라는 장점이 있지만 복잡한 구조와 다양한 상품 특성 때문에 충분한 이해 없이 투자하면 손실을 볼 수 있다”며 최근 투자자 유의사항을 정리해 발표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올해 8월 말 기준 국내 ETF 순자산은 232조원으로 2020년 말(52조원) 대비 약 4.5배 증가했다. 상장 종목 수도 1016개로 처음 1000개를 넘어섰다.
금감원은 핵심 유의사항으로 △높은 분배율만 보고 투자하지 말 것 △운용보수 외에 합성총보수(TER)까지 확인할 것 △추적오차·괴리율이 커지면 예상과 다른 수익률이 날 수 있음에 주의할 것 △옵션 활용 ETF는 전략상 장단점을 이해할 것 △자산구성내역(PDF)으로 실제 편입 종목을 확인할 것 △SNS·유튜브 등 비전문가의 추천 콘텐츠를 맹신하지 말 것 등이다.
특히 금감원은 “ETF의 분배금은 펀드 자산의 일부를 돌려주는 개념일 뿐 새로운 수익이 아니다”라며 “분배금을 받아도 기준가(NAV)가 더 크게 떨어지면 손실이 발생한다”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앞으로도 펀드 신고서의 투자전략과 투자위험을 면밀히 심사하고, 투자자가 ETF를 보다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알권리 보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