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청, 아리랑 6호 발사 전 검토회의 가져…내년 발사 예정

사진우주항공청
[사진=우주항공청]

우주항공청(우주청)이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과 서브미터급 영상레이더(SAR)을 탑재한 지구관측위성 아리랑 6호를 국내 기술 개발을 완료하고 운송 전 검토회의(PSR)를 가졌다고 3일 밝혔다. 

아리랑 6호는 아리랑 5호의 후속 위성이다. 광학관측위성으로는 촬영이 곤란한 야간이나 악천후와 같은 기상환경에서 촬영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이에 지난 12년 12월 사업에 착수한 아리랑 6호는 지난 2018년 2월 상세설계를 완료했다. 이후 지난 2022년 8월 위성체 총조립과 우주환경시험을 모두 완료해 현재 발사를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PSR에서는 전담평가단, 위성개발 분야 전문가, 관계부처 관계자, 참여 연구진 등 100여명이 위성 조립‧시험 결과, 위성 상태 점검 결과, 발사 준비, 지상국 준비 및 초기 운영 준비 현황 등에 대한 심도 있는 검토를 수행했다. 

아리랑 6호는 내년 기아나우주센터에서 아리안스페이스사의 Vega-C 발사체로 발사해 목표 궤도에 안착한 뒤, 초기운영과 검보정 과정을 거쳐 본격적인 위성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전형열 위성우주탐사연구소장은 “아리랑 6호의 발사는 우리나라가 기존 아리랑 5호의 성능(1m급)을 뛰어넘는 세계 수준의 서브미터급 SAR 위성을 주도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성과이며 우주 주권을 강화하고 우주경쟁력을 높이는 전환점”이라고 밝혔다.

김진희 우주청 인공위성부문장은 “아리랑 6호는 기존 광학 위성의 한계를 넘어 악천후나 야간에도 전천후로 고성능 레이다 영상을 확보할 수 있어, 재해․재난 대응, 지형․해양 모니터링, 환경 및 국토관리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공공 및 민간 활용이 극대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