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교육청은 올해 특수·대안학교를 포함한 도내 모든 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운전면허, 어학,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등 자격증 취득 경비를 1인당 최대 30만원까지 지원하는 사업을 시작했다. 기존 실업계고 대상에서 일반고, 자율고, 특성화고로까지 확대된 것이다.
도교육청이 초기에 진행한 가수요 조사에서 전체 12만여명 중 72%가 참여 의사를 밝혔고, 이 가운데 82%가 운전면허를 희망했다. 학생들 입장에선 ‘가장 필요한 지원’으로 꼽힌 셈이다.
하지만 교사들의 반응은 정반대다. 경기교사노조는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3 교실에 운전면허 372억 혈세 낭비”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들은 “운전면허는 만 18세 이상만 취득할 수 있어 실제 지원 대상은 제한적이고, 이미 청년층을 위한 별도 예산 200억원이 편성돼 있다”며 “굳이 고3에까지 예산을 쏟는 건 교육적으로 부적절하다”고 비판했다.
한편, 도교육청은 “졸업을 앞둔 학생들의 사회진출 역량 강화를 위한 것”이라며 “선거와는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다. 또 “자격증 취득 학원 계약 등 서류를 중앙에서 마련해 학교에 제공하는 방식으로 교사 업무를 줄였다”며 “학생과 학부모가 조속한 시행을 원한 만큼 안정적으로 사업을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