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도청 소속 30대 공무원이 숨진 채 발견된 무안 남악 저수지 현장이 안전장치 하나 없는 ‘사각지대’로 드러났다.
펜스, CCTV, 경고판 등 기본적인 시설조차 마련돼 있지 않아 ‘안전 불감증’이 도민의 생명을 위협했다는 비판이 거세다.
지난달 29일 숨진 채 발견된 전남도 7급 공무원 A씨(32). 경찰에 따르면 사고 현장은 폴리스 라인만 설치된 채 그대로 보존돼 있었다.
현장을 둘러싼 것은 70~80㎝ 높이의 화분 7개 뿐이었다. 그러나 사람은 충분히 드나들 수 있는 공간이 있었고, 10여 개의 석재 계단 끝에는 어떠한 안전장치도 없이 곧바로 저수지 물이 드러나 있었다.
경고 안내판은 일부 다른 지점에 부착돼 있었으나 정작 사고 지점에는 경고판도, 난간도, CCTV도 설치돼 있지 않았다.
A씨는 올해 초 곡성군에서 광양으로 전입한 뒤 7월말 승진해 전남도 도로정책과에서 근무하던 중 변을 당했다. 사고 전날 동료들과 회식 후 택시를 타고 귀가했으나, 집과 반대 방향인 저수지에서 익사한 채 발견됐다.
국과수 부검 결과 사인은 익사로 확인됐으며, 경찰은 휴대전화와 통화기록을 토대로 정확한 경위를 조사 중이다.
사고 직후 전남도 관계자는 “진입금지 간판이 9개 설치돼 있다”며 추가 언급을 피했다. 그러나 현장 상황을 확인한 결과, 사고 지점에 실질적인 안전시설은 전무했다. 난간이나 CCTV 설치는커녕, 수난사고를 예방할 최소한의 조치도 이뤄지지 않은 것이다.
무안 경찰은 “CCTV를 확인하고 정확한 사인 등을 수사하고 있다"며, 시설관리 책임자(도지사) 입건은 나중에 생각할 일이고 추후 문제가 있어 유가족의 고발이나 진정이 있으면 검토 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저수지는 구조상 안전사고 위험이 크다”며 “난간과 CCTV, 경고판은 기본 중의 기본”이라고 지적한다.
공무원 사망이라는 비극적 사건은 단순 사고가 아닌 관리 부실에서 비롯된 인재라는 지적이 나온다. 사고가 난 저수지는 도청 바로 인근에 있음에도 관리·감독은 사실상 방치됐다.
전남도는 사고 후 ‘보완 검토’를 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