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28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외국인 주식 순매도 영향으로 원·달러 환율이 소폭 상승 마감했다.
1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거래 종가는 전 거래일 보다 3.6원 오른 1393.7원을 기록했다.
이날 환율은 전날보다 0.1원 내린 1390.0원에 출발한 뒤 보합권에서 머물렀다. 장중에는 1394.2원까지 올랐다가 이내 내려 1393원대에서 장을 마쳤다.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주식 순매도가 환율 상승 압력으로 작용했다. 외국인은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약 2721억원을 순매도했다.
지난달 29일(현지시간) 발표된 미국 7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가 시장 예상에 부합하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9월 금리 인하 전망이 유지되고 있지만, 미국 관세 불법 판결 등 불확실성으로 위험선호 심리가 위축됐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 거래일보다 0.34% 내린 97.618이다.
민경원 우리은행 이코노미스트는 "달러화는 미국의 금리 인하 재개 가능성을 반영해 9월 중순까지는 약세 흐름이 계속될 전망"이라며 "다만 9월 말까지 미국 재무부 현금 확보를 위한 자금조달 이슈가 분기말 유동성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1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거래 종가는 전 거래일 보다 3.6원 오른 1393.7원을 기록했다.
이날 환율은 전날보다 0.1원 내린 1390.0원에 출발한 뒤 보합권에서 머물렀다. 장중에는 1394.2원까지 올랐다가 이내 내려 1393원대에서 장을 마쳤다.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주식 순매도가 환율 상승 압력으로 작용했다. 외국인은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약 2721억원을 순매도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 거래일보다 0.34% 내린 97.618이다.
민경원 우리은행 이코노미스트는 "달러화는 미국의 금리 인하 재개 가능성을 반영해 9월 중순까지는 약세 흐름이 계속될 전망"이라며 "다만 9월 말까지 미국 재무부 현금 확보를 위한 자금조달 이슈가 분기말 유동성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