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미국 필라델피아에 있는 한화 필리조선소를 찾아 "'MASGA(마스가)' 프로젝트로 미국 조선업과 대한민국 조선업이 더불어 도약하는 '윈윈'의 성과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26일 오후(현지시간) 필리조선소에서 열린 국가 안보 다목적선(NSMV·National Security Multi-mission Vessel) '스테이트 오브 메인(State of Maine)'호의 명명식 축사를 통해 "대한민국의 조선업이 미국의 해양 안보를 강화하고, 미국 조선업 부활에 기여하는 새로운 도전의 길에 나선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세계 제1의 저력과 역량을 마주한 필리조선소는 최첨단 선박 기술을 보여주는 미국 최고의 조선소로 거듭날 것"이라며 "필리조선소를 통해 72년 역사의 한·미 동맹은 안보, 경제, 기술 동맹이 합쳐진 '미래형 포괄적 전략 동맹'의 새 장을 열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한·미 조선 협력의 주역은 여기 계신 기업인과 근로자 여러분"이라며 "대한민국의 기업인과 근로자들이 허허벌판에 'K-조선'의 기적을 일궈 냈 듯 한·미가 힘을 모아 마스가의 기적을 현실로 빚어내자"고 주문했다.
마스가는 '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의 머리글자로 조선소 현대화, 인력 양성, 선박 건조 협력 등을 포괄한 한·미 조선업 협력 프로젝트다.
필리조선소는 지난 1801년 미국 해군 조선소로 설립돼 1997년 민영 조선소로 출범한 이후 지난해 12월 한화그룹에 인수됐다. 이는 한국의 조선 기업이 미국 현지 조선소를 인수한 첫 사례다.
'스테이트 오브 메인'호는 필리조선소로 새출발한 이후 처음으로 완성된 선박이다. 필리조선소는 미국 해양청(MARAD)이 발주를 받아 척당 3억 달러의 가격으로 총 5척의 국가 안보 다목적선을 건조할 예정이며, 이날 명명되는 선박은 5척 중 3호선이다.
이 선박은 평시에는 해양대학교 사관생도들의 훈련용으로 활용되다가 비상시에는 재난 대응·구조 임무를 수행하게 되는 다목적선이다. 특히 한국의 조선 전문 기업인 DSEC이 설계와 기자재 조달부터 참여하는 등 한국의 기술과 공급망, 미국의 시설과 인력이 결합해 만들어낸 양국 간 조선 협력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한화그룹 관계자는 이후 진행된 현장 시찰에서 "필리조선소에 대한 추가 투자로 생산 능력을 현재의 연 1.5척에서 연 20척 내외로 확대하고, 중장기적으로 LNG운반선 등 대형 첨단 선박을 제조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동석한 미국 정부 인사들에게 "한국 기업의 투자가 원활히 진행되고, 미국 내 사업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제도적 지원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