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CMP는 중국이 2022년 이후 매년 10기의 신규 원자로 건설을 승인하고 있으며, 이 같은 속도로 가면 2030년 원자력 발전량에서 미국을 앞서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세계원자력협회(WNA)에 따르면 중국은 현재 57GW(기가와트) 발전 용량을 갖춘 원자로 58기를 보유하고 있다. 중국원자력협회는 지난 6월 보고서에서 향후 10년 내 원전 용량을 200GW로 확대하겠다며 대규모 신규 건설 계획을 밝혔다.
중국 정부는 14차 5개년 계획에서 2035년까지 원전 150기를 건설한다는 목표를 내놨으며, 15차 계획에서도 같은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지방정부의 무상 부지 제공, 초저리 건설 자금 조달, 전력 고정가격 매입 보장 등 파격적인 지원책이 더해졌다. 그 결과 중국의 원전 발전단가는 ㎿h(메가와트시)당 70달러 수준으로 떨어져 미국(105달러), EU(160달러) 대비 뚜렷한 가격 경쟁력을 확보했다.
이런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2019년 중국광허그룹(CGN)과 자회사 3곳을 블랙리스트에 올려 미국 기업들의 부품·기술 수출을 금지했다. 그럼에도 중국은 프랑스 등 우회로를 통해 기술 확보를 이어가며 경쟁력을 키워왔다.
대표적 사례가 푸젠성 푸칭 5호기다. 2015년 착공 후 6년도 안 된 2021년 1월 상업 운전에 들어갔으며, 건설 비용은 외국 경쟁사 대비 20~30% 낮았다. SCMP는 푸칭 5호기 건설에 5300개 이상 중국 내 공급업체가 참여했고, 모든 핵심 장비가 국산화돼 전문가 양성에도 기여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파키스탄 카라치 원자력발전소를 포함해 지금까지 15기의 원자로 건설과 시설을 세계로 수출했다고 덧붙였다.
현재 중국은 차세대 4세대 원전 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2023년 12월 세계 최초로 가스냉각 고속로 방식의 스다오완 1호기를 상업 운전에 성공했다. 해당 원전은 중국이 100% 지식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설비 국산화율도 90%를 넘어선 것으로 전해졌다.
물을 냉각재와 감속재로 이용하는 가압형 경수(PWR) 방식의 3세대와는 달리 4세대 원전은 물 아닌 다른 물질을 냉각재로 사용해 안전성과 핵폐기물 양 및 위험성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특징이다.
SCMP는 “미국의 제재로 원전 야망이 꺾이기는커녕 중국이 완전히 자립적인 생태계를 갖추게 됐다”며 “미국의 제한 조치들이 오히려 역효과를 냈으며 이는 말 그대로 아이러니”라고 평가했다.
중국의 공세에 위협을 느낀 미국도 대응에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월 2050년까지 원전 발전 용량을 현재의 100GW에서 400GW로 확대하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실제로 한국과 미국 간의 정상회담을 하루 앞두고 한·미 간 원전 협력도 주요 의제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 측은 협상 과정에서 자국 내 원전 확대 계획을 소개하면서 한국 기업들이 적극적인 역할을 기대한다는 뜻을 밝히기도 했다. 원전 공기업인 한국수력원자력·한국전력 사장도 정상회담에 맞춰 이미 미국을 방문해 웨스팅하우스를 포함한 미국 원자력 관련 기업을 만나 협력 방안을 논의 중이다.
유럽 역시 원전 사고와 폐기물 문제로 회피해왔던 정책을 수정하며, 인공지능(AI) 등 첨단 산업의 에너지원 확보 차원에서 다시 원전에 발을 들이고 있다. 아마존·구글·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 기업들도 에너지 집약적인 AI 데이터센터 운영과 탄소 감축을 위해 원전에 투자 중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