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가 다수 배출한 '안동 전주류씨 삼산고택'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

  • 330여 년간 독립운동가 10여명 배출

안동 전주 류씨 삼산고택 전경
'안동 전주 류씨 삼산고택' 전경

국가유산청은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에 있는 '안동 전주류씨 삼산고택'을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했다고 21일 밝혔다. 

안동 전주류씨 삼산고택은 삼산(三山) 류정원(柳正源·1702~1761)의 향불천위를 모시는 고택이다. 류정원의 아버지 참판공 류석구가 계유년(1693)에 건립한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까지 330여 년간 역사를 잘 간직하고 있다.

택호(宅號)인 ‘삼산’은 류정원이 고택 안마루에서 남쪽을 바라보니 앞산 산봉우리 셋이 나란히 보이는 것을 보고 본인 호를 삼산(三山)으로 정한 데서 유래했다. 이후 고택이 위치한 마을 이름으로도 불리게 되었다.

고택은 안채, 사랑채, 사당, 외양간채, 대문채 등 총 5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북 북부지방의 전형적 ㅁ자형 뜰집 형태이면서도 안채와 사랑채가 별동으로 건립되어 내외 공간 구분이 명확한 편이다. 건물에서 확인되는 다양한 수장재(문, 창호, 난간 구조나 골격 등과 같이 집을 꾸미는 재료)에서 조선 후기 반가의 특징이 잘 남아 있다.

류정원은 일생 동안 주역(周易)을 깊이 연구해 <역해참고>와 <하락지요> 등 저술을 남겼다. 후손들이 그의 학문적 업적을 계승했다. 관직으로는 현감을 거쳐 사도세자를 가르치는 선생으로 활동하였고, 이후 대사간과 호조참의 등을 역임하였다. 지방관으로 재직할 당시에는 선정을 베풀어 많은 칭송을 받았다. 정약용의 <목민심서(牧民心書)>에 모범 사례로 11회나 등장할 정도로 당대 명망이 높았다. 또 개항기와 일제강점기에 독립운동가 10여 명을 배출해 안동 지역에서 사회운동을 주도한 대표적인 집안으로 꼽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