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통신 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가 보이스피싱 대응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8일 밝혔다.
8일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배경훈 장관은 이날 오전 KT 광화문 사옥을 방문해 보이스피싱 대응을 위한 현장간담회를 가졌다.
이번 간담회는 민·관이 협력해 AI를 활용한 보이스피싱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을 위한 근본 대책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간담회에는 SKT,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한국인터넷진흥원 등이 참석했다.
SKT는 지난 2021년부터 경찰에 신고된 보이스피싱 전화번호 수·발신을 자동 차단하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향후 AI로 조작한 가짜 목소리인 딥보이스 탐지 서비스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KT는 지난해 10월 정보통신기술(ICT) 규제샌드박스 실증특례로 지정된 '실시간 통화기반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를 지난달 30일 개시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보유한 실제 보이스피싱 통화 내역을 활용해 보이스피싱 탐지 정확도를 높였다. 올해 보이스피싱 탐지율 95% 이상, 약 2000억원의 피해 예방을 목표로 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11월 출시한 익시오(ixi-O) 앱에서 실시간 보이스피싱 경고 알림을 제공해왔다. 지난 6월에는 전국 1800여개 모든 매장을 '보안 전문 매장'으로 전환해 스미싱 문자 수신, 악성 앱 감염 등 위협 의심 고객에게 맞춤형 상담과 보안 조치를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SKT와 LG유플러스도 KT와 마찬가지로 정부기관 보유 보이스피싱 성문 정보를 활용해 자사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를 고도화할 수 있도록 ICT 규제샌드박스 제도를 활용하기로 했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AI를 활용해 보이스피싱 예방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데이터 공유·활용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과기정통부는 관계부처와 협업해 데이터 이용에 장애가 되는 걸림돌을 제거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