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도 여권처럼"…정부, 블록체인 실증 본격화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블록체인 기술의 실생활 적용을 위해 총 124억 원 규모의 ‘2025년 블록체인 지원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공공 2건, 민간 9건 등 총 11개 과제가 선정돼 연내 실증에 들어갈 예정이다. 

공공 분야에서는 부산시가 전기차 배터리의 제조부터 폐기까지 전 주기 이력을 관리하는 ‘배터리 여권 플랫폼’을 구축한다. 유럽연합(EU)의 디지털제품여권(DPP) 제도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지역 내 2500대 전기차와 관련 기업이 실증 대상이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비대면 진료부터 약 배송, 보험청구까지 원스톱으로 처리하는 ‘가상병원 플랫폼’을 개발해 대구에서 시범 운영을 시작한다.

민간 분야에서는 안랩블록체인컴퍼니가 암표 거래를 차단하는 공연 예매 시스템을, 블록오디세이가 식품 유통이력을 통합 관리하는 플랫폼을 각각 개발한다. 리드포인트시스템은 탄소배출권 거래를 자동화하는 운송 분야 플랫폼을 구축한다.

이외에도 ▲디지털 상품권 유통 개선(수호아이오) ▲여론조사 신뢰성 확보(지크립토) ▲외국인 유학생 행정 간소화(왓콘) ▲NFT 기반 외국인 전자지갑(나이스평가정보) ▲자동채점 교육 플랫폼(소프트제국) ▲공공용 DID·지갑 통합 서비스(블로코) 등 다양한 민간 서비스가 포함됐다.

과기정통부는 블록체인이 AI·디지털자산 시대의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라며, 관련 기업의 성장과 생태계 확산을 지속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