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WB, 아태지역 AI 발전 방향 논의…'AI로 삶 재편'

  • 인천 송도서 'APEC 글로벌 디지털·AI 포럼' 열려

  • 연결성·보안 등 AI 기반 경제체 필요성 강조

사진나선혜 기자
[사진=나선혜 기자]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인공지능(AI) 협력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세계은행(WB)는 5일 인천 송도 쉐라톤 그랜드 호텔에서 'APEC 글로벌 디지털·AI 포럼'을 열었다. 

이번 포럼은 4일 열린 APEC 디지털·AI 장관회의 논의를 바탕으로 정부 관계자와 민간 전문가가 디지털·AI 생태계 현황을 공유하고 국제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포럼은 'APEC의 혁신적인 디지털·AI 미래를 위한 준비'를 주제로 '연결성', '포용', '혁신' 등 3개 세션으로 구성됐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개회사에서 "오늘 이 자리가 기술과 정책, 기업과 정부,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소통의 장이 되기를 기대한다"며 "AI는 산업과 경제를 넘어 사람들의 삶의 근본 방식을 재편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조연설을 맡은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디지털·AI 연결성과 복원력 강화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AI 시대에 있어 보안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정부의 역할에 대해 설명했다. 

송 실장은 "AI 시대에는 더 큰 규모의 네트워크를 필요로 한다. 정보보호 역시 단일 경제체의 문제가 아니다"며 "증가하는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정보보호 측면의 안전 네트워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AI 시대 정보보호를 위한 과기정통부의 역할과 구체적인 방안도 설명했다. 송 실장은 "대한민국 정부는 ITU, 3GPP 등 국제 협력 활동을 하고 있고 6G 위성통신 차세대 네트워크 등을 개발하며 다양한 경제체와 협력 중"이라고 했다.

패널토론에서는 AI와 디지털 기술이 어떻게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고 사회적 회복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가 이어졌다. 패널 토론에 참여한 윌슨 화이트 공공정책부문 구글 부사장은 "정부의 역할은 인프라와 인재 투자에 있다"며 "인프라가 마련되지 않는다면 AI 기술 발전이 의미가 없다"고 역설했다.

그는 "AI 관련 정책 채택이 빠르게 이뤄질 필요가 있다"며 "전세계 정부들이 어떻게 하면 AI 발전을 위한 적절한 환경을 조성할지 의견을 나눠야 한다"고 피력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디지털 공공서비스 혁신으로 포용적인 디지털 사회 실현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샌디 쿤바타나간 오픈AI 아태정책총괄은 AI가 공공 영역에서 구현되려면 우선 정부가 AI 사용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부는 가장 많은 인력을 고용하고 매출을 올린다"며 "정부가 AI 어떻게 인력을 구현할건지, 어떤 목표를 달성할 것인지 파악하는게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제언했다.

마지막 세션에서는 글로벌 도전과제 해결을 위해 어떻게 AI 혁신을 장려할 수 있을지 논의가 이어졌다. 마이클 크라치오스 미국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장은 AI 기술이 사회적 과제 해결을 위한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