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일 폭염이 이어지고 있는 것과 관련 온열질환 사망자가 닷새 연속 발생했다.
1일 질병관리청은 전날 전국 500여곳의 응급실을 찾은 온열질환자가 58명(잠정치)에 이른다고 알렸다. 여기에는 온열질환에 따른 사망자 1명도 포함됐다.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는 지난달 27일부터 전날까지 매일 발생했다. 전날 사망자는 서울시 관악구 거주 80대다.
이로써 올여름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는 모두 18명으로 늘었다.
사망자는 전날까지 16명인 것으로 집계됐으나 지난달 30일 충남 당진에서 사망한 40대가 뒤늦게 집계됐다.
올해 들어 온열질환자는 전날까지 2956명으로 늘었다. 지난달 22일부터 9일 연속 하루 100명 넘게 환자가 나오다가 전날에야 100명 아래로 줄었다.
동일 기간(5월 20일∼7월 31일)으로 따져보면 올해 온열질환자(2940명)는 지난해(사망자 7명 포함 1207명)의 2.4배에 달한다. 사망자 기준으로는 2.6배 수준이다.
온열질환은 열 때문에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통상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제때 조치하지 않으면 의식 저하로 자칫 생명이 위태로울 수도 있다.
올해 누적 환자 10명 중 6명가량은 열탈진(60.6%)을 앓았다. 다음으로는 열사병(16.6%) 환자가 많았다. 국내에서 발생한 온열질환 사망 대부분은 열사병 때문으로 추정된다.
특히 올해 환자의 31.9%가 65세 이상 노인으로 고령자는 폭염 시 가급적 야외활동을 삼가면서 시원한 실내에 머무르는 게 좋다.
온열질환 발생 장소는 실외 작업장(31.9%), 길가(12.9%), 논밭(11.6%) 등 실외(79.6%)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