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 상병 순직 사건과 관련한 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특별검사팀이 김건희 여사가 사용한 보안 휴대전화(비화폰) 실물을 확보하고, 이를 김건희 특검팀과 공유할 방침이다. 특검 간 수사 공조가 본격화되는 모양새다.
순직해병특검팀의 정민영 특별검사보는 1일 정례 브리핑에서 “김 여사가 사용한 비화폰 실물과 통신내역을 전날 대통령경호처로부터 임의제출 방식으로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어 “해당 자료는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 중인 특검팀에도 제공할 예정”이라며 “양 특검 간 실무 협의를 거쳐 구체적 제출 방식 등을 조율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화폰은 통화 감청이나 녹음이 어렵도록 보안 기능이 강화된 휴대전화로, 대통령실과 국방부 등 주요 기관에서 업무용으로 사용된다. 특검은 김 여사를 포함한 관련 인사들이 일반 휴대전화와 비화폰을 병행해 사용한 정황을 포착하고, 수사 방해나 로비 의혹 관련 통화가 비화폰을 통해 이뤄졌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앞서 특검팀은 김 여사의 측근으로 지목된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의 압수물도 김건희 특검에 전달한 바 있다. 이번 비화폰 확보를 계기로 양 특검 간 수사 공조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특검팀은 비화폰 통신기록 확보를 위해 대통령경호처와 국군지휘통신사령부 등에 대해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했고, 순차적으로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한편, 특검은 오는 5일에는 전하규 전 국방부 대변인과 정종범 전 해병대 부사령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할 예정이다. 두 사람은 2023년 7월 말 ‘VIP 격노 회의’ 전후 국방부의 대응 과정에 깊이 관여한 인물로, 수사 방해 의혹의 사실관계를 규명하는 데 핵심 참고인으로 분류된다.
전 전 대변인은 7월 30일 해병대 수사단이 임성근 당시 1사단장을 수사 결과에 포함해 보고한 회의에 배석한 인물이다. 다음 날 VIP 격노 회의 이후 언론 브리핑이 갑작스럽게 취소되는 등 정부 대응이 급변하는 상황에도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전 부사령관은 7월 31일 이종섭 전 장관의 호출을 받고 국방부 현안회의에 참석해, 이후 ‘누구누구 수사 언동하면 안 됨’ 등의 내용이 담긴 이른바 ‘정종범 메모’를 작성했다. 특검은 이 메모를 통해 당시 국방부 지휘부의 구체적 외압 지시 여부와 그 후속 조치를 집중적으로 조사할 계획이다.
특검 관계자는 “김 여사와 윤 전 대통령 등 주요 인사들의 비화폰 자료가 확보되면, 로비나 외압 지시 정황을 포착할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며 “관련 증거 확보와 참고인 조사 등을 통해 진상 규명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