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생물자원관 '축산악취 및 수질오염 줄이는 담수 미생물' 발견

  • 축산현장에서 사용가능한 친환경 생물소재 확보

사진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사진=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최근 축산 환경 및 폐수에 포함된 유기화합물을 분해할 수 있는 아크로모박터 속 담수 미생물을 새롭게 발견했다고 밝혔다.
 
통상적으로 축산농가에서 사용되는 악취 저감 기술은 세정탑, 안개 분무, 오존수 처리 등이 있으나 설비 비용 부담으로 인해 소규모 농가에서는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생물 기반의 소재를 활용한 방식이 경제성과 실용성 면에서 새로운 환경 개선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자원관 연구진은 2021년부터 경북 상주 지역 양돈농가의 폐수처리시설을 대상으로 축산악취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물질을 저감 할 수 있는 미생물을 확보하기 위한 현장 기반 연구를 추진 해왔다.
 
폐수 내 담수 미생물을 확보하고, 이들 가운데 악취물질 분해 능력을 갖춘 후보 균주를 선별해 효능 평가를 수행했다.
 
그 결과 축산 폐수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약 59%까지 줄이고 페놀, 인돌 등 수질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분해하는 아크로모박터 속 신규 균주(S12)를 발견했다.
 
특히 여름철 축산악취와 수질오염 문제가 반복적으로 제기되는 상황에서 이번 연구는 현장 적용 가능성이 높은 생물 소재 확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이번에 확보한 균주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다양한 후속 연구와 적용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축산 환경 개선과 수질정화 분야에서의 기술 접목을 적극 모색할 계획이다.
 
오영택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이용기술개발실장은 “이번에 발견한 담수 미생물은 축산 환경의 주요 악취 성분은 물론 수질오염 원인물질 저감 효능이 우수해 향후 대기 및 수질 환경 개선에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