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대 앞두고 기조 선명해진 민주...'강성 드라이브' 본격화 하나

  • 정청래 "나는 일본말 모른다" 박찬대 "권성동 안녕히 가세요"

  • 8월 4일 본회의, 노란봉투법·방송3법·농안법·양곡관리법 처리 방침

정청래왼쪽 ·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들이 29일 오후 서울 마포구 MBC에서 열린 TV토론회에 참석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청래(왼쪽) ·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들이 29일 오후 서울 마포구 MBC에서 열린 TV토론회에 참석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8·2 전당대회를 앞두고 강성 색채 지도부 출범을 예고하듯 전열 재정비에 나선 모습이다. 차기 당대표를 노리는 정청래·박찬대 후보(기호순)는 강력한 대야(對野)공세로 선명성 경쟁을 하고 있다. 당 차원에서도 윤석열 정부 때 거부권(재의요구권)이 행사된 주요 민생개혁 법안 처리를 강행한다는 방침이다. 

박 후보는 31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권성동 의원, 안녕히 가십시오'란 제목으로 "김건희 특검이 권성동을 '피의자'로 명시했다"며 "통일교로부터 억대의 불법 정치자금을 받고, 당대표 선거에서 조직적인 지원까지 받았다는 혐의다. 국민을 속이고 이단과 손잡은 권성동의 불법 정치 여정을 이번에 반드시 끝내겠다"고 강조했다. 

정 후보도 같은 날 페이스북에 "김문수 '정청래가 나보고 극우라 하나? 끝장토론 하자'. 나는 일본말을 못한다. 한국말로 한다면 생각해보겠다"는 내용의 글을 올렸다. 김문수 전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지난 정부 당시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였을 때 인사청문회에서 '일제강점기 때 선조들의 국적은 일본'이라고 한 발언을 비꼰 것으로 해석된다. 

이처럼 당권 주자들이 '강성 모드'로 진입한 건 55%의 권리당원 표심을 얻기 위한 전략으로 보인다. 민주당 당대표 선거인단의 반영 비율은 대의원 투표 15%, 권리당원 55%, 일반 국민 30%이다. 두 후보 모두 '당심(당원들의 마음)'이 핵심 변수라고 판단하고, 보다 확실하고 명확한 메시지로 '당심 결집'에 총력을 기울이는 것이다. 

여당이 된 민주당의 강경 기조는 입법 전략에서도 뚜렷이 드러난다. 당은 오는 8월 4일 본회의에서 노란봉투법(노조법 2·3조 개정안), 방송3법(방송법·방송문화진흥회법·한국교육방송공사법 개정안), 양곡관리법, 농안법(농수산물유통및가격안정에관한법률), 2차 상법 개정안 등을 처리할 계획이다. 

이는 집권 초기에 '개혁 드라이브'를 걸어야 한다는 판단에서 비롯됐다. 한 초선 의원은 아주경제에 "'허니문'때 개혁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말했다. 동시에 당 기조가 강경으로 굳어지는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다른 초선 의원은 "집권하자마자 강경일변도로 나가는 게 맞나 싶다"며 "여당 대표는 추진력도 중요하지만, 협상력도 중요한데 (새 지도부가) 가능할 수 있을지 우려된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