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원 "결혼서비스 평균 2074만원...강남 3336만원 최고"

6월 지역별 결혼서비스 비용 및 4월 대비 변동률 현황 그래픽한국소비자원
6월 지역별 결혼서비스 비용과 4월 대비 변동률 현황 [그래픽=한국소비자원]

한국소비자원이 지난달 결혼서비스 비용을 조사한 결과 평균 2074만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4월 2101만원, 5월 2088만원과 비교해 소폭 하락한 셈이다.

29일 한국소비자원은 전국 14개 지역 소재 결혼서비스 업체 515개사를 대상으로 결혼식장과 스드메(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 패키지 비용을 합산한 비용을 발표했다.

지역별 결혼서비스 전체비용은 서울 강남이 3336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서울(강남 외) 2703만원, 경기도 1881만원 순이었다. 14개 지역 중 전체비용이 가장 낮은 지역은 경상도(1153만원)였다.

대관료·식대·기본 장식비를 포함한 결혼식장 중간가격은 1560만원이었으며, 지역별로는 ‘서울 강남’이 289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서울(강남 외) 2175만원, 제주도 1702만원 등으로 나타났다. 결혼식장 가격이 가장 낮은 지역은 부산으로 775만원이었다.
 
대관료 중간가격은 300만원이었으며 지역별로는 서울 강남이 69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가장 낮은 지역은 제주도(90만원)으로 조사됐다.

결혼식장 비용의 73%를 차지하는 식대 중간가격은 1180만원이며, 지역별로는 서울 강남이 2075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식대가 가장 낮은 지역은 경상도로 645만원이었다. 

1인당 식대 중간가격은 5만8000원이었으며, 지역별로는 서울 강남이 8만3000원으로 가장 비쌌다. 1인당 식대가 가장 저렴한 지역은 경상도로 4만2000원이었다.

스드메 패키지 중간가격은 292만원이었으며, 지역별로는 광주가 346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스드메 패키지 가격이 가장 저렴한 지역은 인천으로 222만원으로 나타났다. 

스튜디오 기본(20P앨범, 20R액자) 서비스 중간가격은 132만원이었으며 지역별로는 강원도가 159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스튜디오 기본가격이 가장 낮은 지역은 경기도로 70만원이었다.

드레스 기본(본식1벌+촬영 3벌) 서비스 중간가격은 151만원이었으며 지역별로는 대전이 22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서울 강남이 189만원, 부산이 176만원 등의 순이었다. 드레스 기본가격이 가장 낮은 지역은 서울(강남 외)로 103만원이다. 

메이크업 기본(본식+촬영(원장급)) 서비스 중간가격은 73만원이었으며, 지역별로는 서울 강남이 96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경기도가 81만원이었으며 메이크업 기본가격이 가장 낮은 지역은 광주로 33만원이다.

결혼서비스 계약 후 추가되는 선택품목(옵션)으로 예비부부 부담은 가중되는 모양새다. 조사 결과 결혼식장 옵션 중에는 본식 촬영비(71.7%)가 가장 많이 판매된 것으로 조사됐다. 중간가격은 80만원이다. 또 결혼식장 기본 장식에서 ‘생화’로 변경하려면 200만원의 추가 비용을 지불해야 했다.

스튜디오 옵션 중에는 앨범페이지 추가(66.2%)가 가장 많았고, 1장당 3만원을 내야 했다. 촬영한 사진 원본 구매시에는 30만원을 추가 지불해야 했다. 드레스 옵션 중에는 본식 헬퍼(64.8%)가 가장 많았고, 비용은 25만원이었다. 드레스에 레이스와 자수 등 세부 디자인을 추가하면 121만원이 더 들었다.

메이크업 옵션 중에는 여성 혼주 헤어&메이크업(45.5%)이 가장 많았고, 비용은 27만원이었다. 예식·촬영 분위기에 맞춰 머리모양을 다르게 바꾸려면 33만원을 더 부담해야 했다.
  
소비자원은 "앞으로도 매월 결혼서비스 가격조사를 지속해서 실시하고 이를 소비자에게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등 예비부부가 합리적으로 결혼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정보제공에 힘쓸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