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도가 청양·부여 지천댐 건설을 위한 대응 방안과 종합지원 계획을 마련한다.
도는 과반을 넘는 주민 찬성 여론을 바탕으로 정부 설득에 나설 방침이다.
김영명 충남도 환경산림국장은 28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폭우로 도내 피해가 3664억 원에 이르렀고, 서산·예산은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됐다. 청양·부여 등 8개 시군도 추가 지정을 요청한 상태”라고 밝혔다.
그는 “기상이변이 반복되면서 물 문제에 대한 접근 방식을 바꿔야 할 때”라며 “지천댐은 기후위기에 근본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지천댐 후보지인 청양군은 2022년·2023년, 부여군은 2022년부터 올해까지 3년 연속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됐고, 올해도 청양은 115억 원, 부여는 97억 원의 피해가 잠정 집계됐다.
가뭄 피해도 이어지고 있다. 환경부가 지난 5월 발표한 ‘금강권역 하천유역수자원 관리계획’에 따르면, 2030년까지 생활·공업용수 약 2억 톤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청양과 부여는 2015년부터 2022년까지 가뭄으로 제한급수와 급수차 투입 등의 조치를 겪었다.
김 국장은 “지천은 물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지형과 수량을 갖춘 지역으로, 지천댐은 물 부족을 해결할 유일한 해법”이라며 “건설 시 홍수조절 1900만 톤, 용수공급 5500만 톤 확보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충청권 3개 언론사가 여론조사 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조사한 결과, 청양·부여 주민 62.9%가 댐 건설에 찬성했다”며 “특히 직접 영향권인 청양 장평면은 73.3%, 부여 은산면은 74.1%로 평균보다 높았다”고 덧붙였다.
김 국장은 “이 같은 결과는 지역경제 발전과 물 부족 해소에 대한 기대가 이주 부담보다 크다는 뜻”이라며 “충분한 논리와 자료를 갖추어 정부를 설득하겠다”고 말했다.
여론조사는 지난 11~14일, 청양군 693명·부여군 339명 등 19세 이상 주민 1032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찬성 이유로는 △지역경제 발전 △인구감소 해소 △물 부족 해결 △홍수 예방 △관광자원화가 꼽혔다. 반대 이유는 △환경 파괴 우려 △가축·작물 피해 △상류 규제 △지역 갈등 △이주 문제 등이었다.
도는 이번 여론조사를 근거로, 지천댐이 단순한 수자원 인프라를 넘어서 지역 발전과 주민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천댐 종합지원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 안에는 주민 수익사업, 이주 대책, 생태 보전, 관광 활성화 등 주민 의견이 반영된다.
또한 전 과정에 주민 참여를 우선하며, 지역 협의체를 운영해 우려사항을 듣고 해결할 방침이다.
김영명 국장은 “지천댐은 단순한 물 관리가 아니라, 주거·산업·농축산·관광 등 충남의 100년 미래를 책임질 전략”이라며 “지역 갈등이 아닌 공동 번영을 위한 해법으로 만들기 위해 도정의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