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방부가 현재 각 군이 개별적으로 관리하는 드론 관제 체계를 통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24일 국방부에 따르면 '드론 통합관제체계 구축 추진 전략수립'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최근 국내외에서 공중 무인 체계의 군 전력화 노력을 가속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각종 드론과 무인기는 향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런데 레이더 반사 면적이 작은 소형 드론의 경우 공중에서 위치 식별이 어려워 기존의 항공교통관제 체계를 통한 통제가 불가능하고 유인기와의 충돌로도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줄이고 원활한 작전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소형 드론에 대한 통제 체계가 필요하고, 특히 현재 각 군에서 개별적으로 운용 중인 체계를 통합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국방부는 "이번 연구를 통해 드론 통합관제체계에 적용되는 드론의 범위를 재정의하고, 육군을 중심으로 각 군의 책임 구역에 대한 범위를 구체화할 방침"이라며 "단계적 체계 통합시 필요한 요소들과, 통합 후 관리 주체를 어떤 조직으로 할지 등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국토교통부의 드론 교통관리시스템(UTM) 연동을 고려한 통합 서버 구성 방안을 함께 살펴보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번 연구용역 발주는 지난해부터 추진된 것으로, 최근 불거진 평양 무인기 투입 의혹과 연관성은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