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정부세종청사 기자실을 찾은 김 장관은 정부 조직개편에 대한 질문에 "에너지와 통상 등 우리 부 차원에서 산업과 어떻게 연계할지 국정기획위원회와 긴밀하게 논의하고 있다"며 "조직개편 여부부터 논의하고 있으니 결과를 봐달라"고 말했다.
조선해양플랜트 부문의 해양수산부 이관에 대해서는 최종 결정은 국정위가 내릴 것이라면서도 "신중하게 생각해야 된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조선산업은 해운보다는 오히려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계, 소재, 디지털 등 산업·복합적인 성격이 강하다"며 "그런 논의가 있는 건 알고 있는데 (이관은) 굉장히 신중해야 된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김 장관은 통상 현안에 대해서도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앞서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방미가 확정되며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또는 통상교섭본부장과의 '2+2 협의체'를 이뤄 미국을 방문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협상 카드가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2+2 협의체'의 방미 목적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의 협상 테이블 참여에 대한 질문이 제기됐다. 이에 김 장관은 "분산보다는 협상력을 제고하기 위한 것"이라며 "통상교섭본부장이 할 수 있는 커버리지가 있고 저나 부총리가 할 수 있는 부분이 있어서 협상력을 제고시키기 위한 측면이 있다고 생각한다. 최종적인 것은 부총리께서 말씀하실 것"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