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PER 10배 이하이면서 PBR 1배 미만 조건을 동시에 충족한 종목은 총 96개(18일 기준)로 집계됐다. 수치상으론 주가가 이익이나 자산가치에 비해 낮다는 의미지만, 이 중 절반에 해당하는 44개 종목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은 5%에도 못 미쳤다. 시장 평균 ROE는 약 7.1% 수준이다.
KC그린홀딩스, 오션인더블유, 서원, 유성티엔에스 등은 PER이 1배 수준으로 극단적으로 낮지만 ROE는 3~4%대에 그쳤다. 해당 종목들은 자본 대비 수익성이 낮아, 낮은 PER이 이익 대비 저가라기보다 자본 효율성이 떨어진 결과일 가능성이 크다.
문제는 실적 전망조차 불분명하다는 점이다. PER과 PBR이 낮은 96개 종목 중 60개 이상은 선행 PER이 비어 있었다. 실적 추정치가 존재하지 않거나 애널리스트 커버리지가 전무하다는 의미다.
반대로 PER과 PBR이 낮으면서도 ROE가 10%를 넘고, 선행 PER이 10배 미만인 종목은 9곳에 불과했다. BGF, GS, BNK금융지주, CJ대한통운, DL이앤씨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들 종목은 이익 체력, 실적 가시성, 주주환원 기조를 두루 갖춘 기업으로, 밸류에이션 재평가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GS의 경우 PER 8.8배, PBR 0.36배 수준이지만 ROE는 24.5%를 기록했다. 배당수익률도 5%를 넘는다. 낮은 밸류에이션에 고수익성과 안정적인 현금흐름이 함께 나타나는 사례다.
시장에서는 단순한 PER, PBR 수치보다 ROE, 실적 추정, 배당 정책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실적 변동성이 크거나, 일시적인 흑자로 PER이 낮아진 종목의 경우엔 투자 판단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PER과 PBR이 낮다고 해서 곧바로 저평가됐다고 보기 어렵다”며 “ROE 10% 이상, 실적 컨센서스 존재, 배당성향이 일정 수준 이상인 종목이어야 실제 재평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