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 고용부에 따르면 기존에 100개 운영 중이던 프로그램이 150개로 확대되고, 예산도 122억원에서 183억원까지 상향된다.
'대중소상생 아카데미'는 교육·훈련 분야에서의 노동시장 격차 완화를 위해 대기업 등이 자사 근로자를 대상으로 활용하는 우수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협력사 등 중소기업 근로자까지 개방·공유하도록 하고, 이를 정부가 지원하는 사업이다.
운영기관인 대기업은 프로그램별 역량인증체계를 개발하고, 동종 산업계에서 통용될 수 있도록 해 훈련프로그램을 이수한 중소기업 근로자의 지속적인 경력발전과 성장을 지원하게 된다.
아울러, 고용부는 탄소 감축 등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해 직무훈련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사업전환과 근로자의 직무전환을 선제적·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산업전환공동훈련센터'를 현장의 수요를 반영해 확대하는 등 중소기업의 산업전환 대응력 강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고용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은 사업의 신속한 집행을 위해 추경안 국회 통과 직후 공동훈련센터 신규 공모 등을 진행하고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한국산업인력공단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임영미 직업능력정책국장은 "이번 추경은 산업현장의 AI 활용 확산에 빠르게 대응해 대·중소기업 간 인공지능 전환(AX) 격차를 완화하기 위한 조치로 신규 공모 등의 후속 절차를 신속하게 진행해 추경의 효과가 산업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