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매각은 국민권익위원회의 조정 결정에 따른 것으로, 총 17명의 주민이 주택부지와 농지의 소유권을 확보했다.
이들 주민은 1976년 산림청의 화전정리사업 당시 적절한 보상 없이 공동묘지로 강제 이주당했다.
열악한 환경에서 생활해온 이들은 대부분 70~80대 고령자이며, 1세대 부모 가운데 생존자는 단 2명 뿐이다.
시는 권익위 조정에 따라 지난 2월 6일 주민대표와 정성주 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서면 조정을 체결했다. 이후 3월 주민설명회, 4월 시의회의 의견 수렴을 거쳐 약 2달간 매각 절차를 완료했다.
또한 시는 그간 마을 진입로 확장, 농로 포장 등 생활환경 개선사업도 병행 추진하며,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힘써왔다.
김창수 개미마을 대표는 “내가 살던 집과 땅을 내 이름으로 돌려받게 될 줄은 꿈에도 몰랐다”며 “50년 동안 고생한 세월이 떠올라 눈물이 났다”고 말했다.
다만, 주민들의 숙원인 경로당 건립과 화전민 기념관 설치 등은 아직 해결하지 못한 상태다.
정성주 시장은 “오랜 세월 억울함을 견뎌온 주민들의 고통에 깊은 위로를 전한다”며 “앞으로도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남은 민원을 해결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산업통상자원부 한국형 퀵스타트 프로그램사업 공모 선정

이 사업은 미국 조지아주가 1967년부터 시행한 퀵스타트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해 도입한 것으로, 공장 가동 시점에 맞춰 필요한 인력을 미리 교육하고 채용까지 연계해 지원하는 정부 주도형 인력양성 사업이다.
시는 (사)전북산학융합원(원장 강승구) 등과 함께 내년 3월까지 국·도비 1억8000만원을 포함한 총 사업비 3억7600만원을 투입해 국내 1위 냉동밥 전문회사이자 향토기업인 농업회사법인인 (주)한우물의 인력 채용을 도울 계획이다.
328억원을 투자해 오는 8월 제3공장 준공을 앞두고 있는 ㈜한우물은 이번 공모사업 선정으로 신규 사업장에 취업을 희망하는 구직자를 선발해 약 4주간의 기업 맞춤형 교육 및 현장 실습을 진행함으로써 지방투자 이행의 부담을 덜게 됐다.
수료 후 취업에 성공하는 교육생에게는 275만원의 교육훈련 장려금이 지급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