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비법조인 대법관 증원 법안'에 "섣불러…자중하라고 지시"

  • '부정선거' 동조 지적에는 "아니다"

  • 국민의힘 "명백한 물증에도 거짓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지난 23일 서울 여의도 KBS 스튜디오에서 열린 제21대 대선 2차 후보자 토론회를 준비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지난 23일 서울 여의도 KBS 스튜디오에서 열린 제21대 대선 2차 후보자 토론회를 준비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24일 당내에서 비법조인에게 대법관 임용 자격을 주는 법안이 발의된 것에 대해 "개별 의원들의 입법 제안에 불과하며 민주당이나 제 입장은 전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 후보는 이날 오전 경기 부천에 있는 한 대안학교에서 간담회를 한 뒤 기자들과 만나 "비법조인·비법률가에게 대법관 자격을 주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 불필요하게 논쟁을 만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입법을 추진하는 것을 두고 "섣부르다"며 "당내에 그런 문제에 자중하라고 오늘 오전에 지시해 놓은 상태"라고 덧붙였다.

또 지난 2017년 대선 당시 '부정선거론'에 동조했다는 지적에는 "아니다"라고 재차 부인했다.

이 후보는 부정선거론과 관련해 입장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모르겠다. 하도 오래전 일이라 정확한 기억이 없다"며 "제 기억으로는 국정원 댓글 조작을 통한 선거 부정을 주로 이야기했던 것 같다"고 답했다.

아울러 "부정선거를 했다는 것이 아니고 그런 우려가 있었던 것 같다"며 "수개표, 즉각 개표하는 게 확실하지 않냐는 그런 이야기가 있었던 것 같다"고 했다.

이에 국민의힘은 "과거에 부정선거를 주장했다는 명백한 물증이 남아있는데 '난 그런 적 없다'고 거짓말을 아무렇지 않게 한다"고 비판했다.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이날 여의도 중앙당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팩트체크를 해보니까 박근혜 전 대통령이 당선된 당시 대선에 대해서 이 후보가 SNS에 쓴 글에서 '3·15 부정선거를 능가하는 부정선거였다'고 말했다"고 지적했다.

앞서 이 후보는 전날 진행된 대선 후보 2차 TV 토론회에서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가 "이번 부정선거 담론과 마찬가지로 지난 2012년 대선 이후에도 부정선거를 주장한 사람들이 있는데, 이재명 후보도 이것에 동조한 바 있다"고 공격하자 "국정원이 댓글 조작을 통해서 국민 여론을 조작했기 때문에 그 측면에서 한 것이지 윤석열이나 김문수 후보가 관심 갖는 투개표 조작 등의 부정선거 주장이 아니었다"고 반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