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기아는 22일 인천국제공항공사와 'AI 기반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 기술 검증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인천국제공항공사 청사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현대차·기아 R&D본부장인 양희원 사장과 이학재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이 참석했다.
협약에 따라 현대차·기아는 국내 최대 규모의 친환경차 인프라를 보유한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손잡고 공항 환경에 최적화된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 서비스를 제공한다.
인천국제공항은 관내 업무용 차량을 모두 친환경차로 전환했으며, 2026년까지 1110기의 전기차 충전기를 갖출 예정으로 자동 충전 로봇 서비스를 활용하기에 최적의 장소로 꼽힌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업무용 친환경차 대상으로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을 실제 운영하며 사용성을 검증하고, 공항공사 직원들의 피드백을 수집해 공유할 예정이다.
양측은 이번 협력을 발판 삼아 향후 항만, 철도 등 다양한 교통 인프라에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 서비스가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협력 모델을 만들어 나갈 방침이다.
양희원 현대차·기아 사장은 "이번 업무협약은 현대차·기아의 로봇·AI 기술력과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축적된 운영 경험이 융합돼 미래 모빌리티 기술의 실질적 효용을 검증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현대차·기아는 어떤 환경에서도 제약 없이 사용 가능한 맞춤형 자동 충전 솔루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더욱 편리하고 향상된 이동 경험을 제공하고 인천국제공항과 함께 다양한 미래 모빌리티 인프라를 구축, 친환경차 보급 확대는 물론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를 선도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현대차·기아가 개발한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은 충전기를 들어 차량 충전구에 체결해 충전을 시작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기를 뽑아 제자리에 돌려놓는 외팔형 로봇이다. 3D 카메라 기반의 AI 알고리즘을 적용해 충전구를 정확히 인식하고 충전기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해당 로봇은 지난해 서울 성수 '팩토리얼 성수'에 도입했고, 현대차 고객을 대상으로 진행된 '지금은 충전 중' 캠페인을 통해 제주 새빌 E-pit 충전소에서 시연되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