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건설부 장관, 최영삼 대사 접견…인프라·스마트도시 협력 확대 제안

  • 철도·도시개발·에너지 효율 등 전방위 지원 희망…한국 기업의 현장 애로 해소도 요청

최영삼 주베트남 대사가 이끄는 대표단오른쪽이 쩐홍민 베트남 건설부 장관 및 관계자들과 회담을 하고 있다사진베트남 건설부
최영삼 주베트남 대사가 이끄는 대표단(오른쪽)이 쩐홍민 베트남 건설부 장관 및 관계자들과 회담을 하고 있다[사진=베트남 건설부]


베트남과 한국이 인프라·스마트도시 분야 협력을 강화하며, 기업 참여 확대와 기술 이전을 통한 전략적 동반성장 기반을 모색하고 있다.

20일 베트남 현지 매체 건설신문에 따르면 쩐홍민 베트남 건설부 장관은 이날 최영삼 주베트남 한국대사와 만나 인프라 및 도시개발 분야에서의 양국 간 협력 강화를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양국 건설 기업들이 겪는 현장의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협력 추진 현황을 점검하기 위한 자리였다.

민 장관은 “1992년 수교 이래 베트남과 한국은 정치·경제·문화 등 다방면에서 협력을 심화해 왔다”며 “특히 한국은 베트남 최대 외국인직접투자(FDI) 국가이자 세 번째로 큰 무역 파트너이며, 양자 간 공적개발원조(ODA) 제공국으로는 두 번째로 큰 국가”라고 강조했다. 그는 “교통 인프라 분야에서도 한국은 1996년 이후 베트남의 가장 중요한 양자 협력 파트너 중 하나”라며 감사를 전했다.

도시개발과 주택 분야에서도 양국 간 기술 협력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베트남 건설부의 주택법과 부동산거래법 개정 작업에 기술 자문과 인력 연수를 지원한 바 있다. 민 장관은 “양국 간 협력은 단순 시공을 넘어 도시계획, 스마트시티, 에너지 효율 등 종합적이며 전략적 방향으로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최 대사는 “베트남 정부가 최근 추진 중인 고속철도 사업과 스마트도시 프로젝트에 대해 한국은 깊은 관심을 갖고 있으며, 한국 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하노이-호찌민을 연결하는 남북 고속철도, 투티엠-롱타인(Thu Thiem-Long Thanh) 도시철도 등 주요 프로젝트를 언급하며, 한국의 경제개발협력기금(EDCF)을 통한 금융·기술·인력 지원 의지를 표명했다.

또한 최 대사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베트남 일부 지방에서 추진 중인 스마트시티 사업과 관련해, 한국 기업들이 보다 깊숙이 참여할 수 있도록 베트남 건설부의 지원을 요청했다. 이어 “한국은 베트남의 에너지 효율 기준이나 친환경 도시 조성 경험을 공유할 준비가 돼 있다”며, “양국이 공공-민간 협력(PPP) 모델을 확대해 나가길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이 외에도 최 대사는 한국계 기업들이 현장에서 겪고 있는 기술적 어려움을 전달했다. 대표적으로 베트남 정부가 도입한 자동차 연료 소비량 제한 규정과 관련해, 대우 버스의 임시 번호판 발급 지연으로 인해 수출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협조를 요청했다.

 

베트남 하노이 동남부 지역 에코파크 신도시 [사진=베트남통신사]
베트남 하노이 동남부 지역 에코파크 신도시 [사진=베트남통신사]



이에 대해 민 장관은 “한국은 아시아에서 가장 먼저 고속철도 기술을 보유하고 상용화한 국가 중 하나로, 고속철 차량의 국산화율이 90%를 넘는다”며 “베트남은 한국의 기술력과 운영 노하우를 적극 수용하고 싶다”고 답했다. 그는 “기술 이전과 철도 산업 육성, 고속 물류 기반 조성 측면에서도 한국과의 협력은 전략적 가치가 크다”고 평가했다.

스마트도시 부문에 대해서도 “한국은 베트남이 도시화 과정에서 가장 신뢰하는 협력 파트너 중 하나”라며, “기술적 노하우뿐 아니라 주민 친화적인 도시 계획 수립 경험 역시 매우 귀중하다”고 강조했다.

자동차 연료 규정 및 번호판 관련 문제에 대해서는 “관련 부처에 협조를 지시했으며, 주베트남 한국대사관과 긴밀히 협의해 문제를 신속히 해결하겠다”고 답했다.

마지막으로 민 장관은 “베트남 건설부는 한국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향후 공동 세미나·실무협의 등을 통해 실질적 협력 성과를 도출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한국 기업들이 베트남 도시개발의 주체로 적극 활동해 주길 기대하며, 지방정부와의 연계를 통해 사업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