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남도 신안군 자은도 북서쪽 공유수면해상에 위치한 전남해상풍력 1단지에 10MW급 풍력발전기가 설치돼 있다. [사진=SK이노베이션 E&S]
국내 최대 규모 민간 주도 해상풍력 프로젝트인 '전남해상풍력 1단지'가 상업운전을 시작했다.
SK이노베이션 E&S는 지난 16일 전라남도 신안군 자은도 북서쪽 공유수면에 위치한 전남해상풍력 1단지 가동을 본격 개시했다고 21일 밝혔다.
해상풍력은 바다 위 발전설비가 바람의 힘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재생에너지다. 전남해상풍력 1단지는 연평균 7~8m/s의 안정적인 바람과 얕은 수심을 가진 자은도 인근 해역에서 고정식 풍력발전을 진행한다.
이 단지는 신안군 연안에서 약 9km 떨어진 10~20m 수심 해역에 풍력발전기 10기(총 96MW)를 설치했다. 이는 국내 민간 주도 해상풍력 사업 중 최대 규모로, 연간 약 3억 100만kWh 전기를 생산해 약 9만 가구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이다.
상업운전 시작 후 일평균 발전량은 91만3000kWh로 목표치를 안정적으로 달성 중이며, 이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 저감 효과는 연간 약 24만톤에 달한다.
SK이노베이션 E&S와 덴마크 에너지 투자회사 CIP는 각각 51%, 49% 지분으로 전남해상풍력㈜를 설립했다. 2017년 발전사업 허가를 받고 2022년 공유수면 사용 허가를 받아 2023년부터 본격 공사를 진행했으며, 지난해 12월 풍력발전기 설치를 마치고 올해 초 시운전을 거쳐 상업운전을 개시했다.
앞으로 SK이노베이션 E&S와 CIP는 2027년 말부터 2단지(399MW), 3단지(399MW)를 추가 건설해 2031년까지 총 900MW급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를 완성할 계획이다. 이는 국내 원자력발전소 1기 용량과 맞먹는 규모다.
전남해상풍력 사업은 지역과 상생에도 힘쓰고 있다. 주민참여 제도를 도입해 발전 수익 일부를 신안군 주민과 공유하며, 공사 과정에서도 목포·신안 지역 70여 개 업체와 협력해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국산화도 적극 추진돼 풍력발전기 타워, 하부 구조물, 송전 케이블 등 주요 기자재와 설치 장비의 약 75%를 국내 기업이 제작했다. 국내 해상풍력 최초로 모노파일 하부구조물(해저에 설치하는 강철 원기둥 구조물)이 적용됐으며, 발전기 타워 높이 127m, 블레이드 길이 97m의 10MW급 초대형 발전기가 설치됐다.
전라남도와 신안군은 2035년까지 총 8.2GW 규모의 세계 최대 전남해상풍력단지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1단지는 이 계획의 첫 단추가 될 전망이다.
추형욱 SK이노베이션 E&S 사장은 "전남해상풍력 1단지는 국내 해상풍력 산업 도약의 상징적 프로젝트"라며 "지역사회와 함께 국내 해상풍력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재생에너지 확대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