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조 추가 장착한 中 CATL...韓배터리 더 궁지로, 정부 지원 시급

  • 中 CATL, 7조원대 대규모 자금 확보

  • 韓 배터리 업계, 자금 조달 한계에 직면

  • 정부 지원 부재, 경쟁력 약화 우려 커져

LG에너지솔루션 대전연구원 전경 사진LG엔솔
LG에너지솔루션 대전연구원 전경 [사진=LG엔솔]

세계 1위 배터리 기업 중국 CATL이 7조원대 실탄을 추가 확보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국내 배터리 업계도 유상증자와 회사채 발행 등으로 대응에 나서고 있으나 역부족인 상황이다. 보조금 지급과 세제 지원 등 정부 차원의 실질적이고 강력한 지원책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19일 외신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세계 최대 배터리 기업 CATL은 20일 홍콩 증시 상장을 통해 약 7조4227억원 규모의 자금을 새로 조달한다. 확보한 자금은 헝가리 공장 건설 등 글로벌 생산거점 확대에 투입될 예정이며이를 바탕으로 현재 38% 수준인 세계 시장 점유율을 공고히 한다는 전략이다.

글로벌 1위 전기차 업체로 성장한 중국 BYD도 배터리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끌어올리고 있다. BYD는 지난 3월 유상증자를 통해 8조원대 실탄을 확보했으며 포화 상태에 이른 중국 내수 대신 북미와 유럽 시장을 집중 공략하고 있다.

국내 배터리 기업들도 유상증자와 회사채 발행 등 방식의 자금 조달로 투자 확대와 미래 대비에 나서고 있으나 주가 하락과 주주 반발 등 여파로 운신의 폭이 좁다. 포스코퓨처엠은 최근 1조1000억원 규모 유상증자 실시를 발표했는데 포스코홀딩스가 지분의 과반을 인수한다. 앞서 유상증자를 발표한 삼성SDI도 시장 반응 등을 고려해 계획을 조정한 바 있다.

중국은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하에 생산능력 확대에 주력하며 치킨 게임을 벌이고 있다. 반면 우리 정부는 보조금 지급과 세제 지원 등에서 미흡하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연구개발(R&D)과 인프라 투자 보조금 지원 확대 등 구체적인 요구도 나온다. 

배터리 산업이 전기차·인공지능(AI)·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미래 핵심 분야와 직결된 만큼 차기 정부가 들어서면 통합적·전략적 지원 방안을 재수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한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중국과 미국 정부는 산업 생태계 조성을 주도 중이지만 한국은 기업들이 모든 부담을 떠안고 있다. 이대로 가면 글로벌 기술 격차는 더욱 벌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배터리 제조 원가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니켈·리튬·흑연 등 핵심 소재의 해외 의존 완화도 시급한 과제다. 공급망 안정화와 소재 국산화를 위해서도 정부 노력이 필요하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배터리 산업의 주도권은 AI·전기차·에너지 전환 등 미래 산업 전반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며 "산업 현장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부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