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임 시절 '세계에서 가장 검소한 대통령'이라고 불렸던 호세 무히카 전 우루과이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향년 89세로 별세했다.
야만두 오르시 우루과이 대통령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옛 트위터)에 "깊은 슬픔과 함께 우리 동지 페페(무히카 전 대통령을 부르는 애칭) 무히카의 서거를 알린다. 그는 대통령이자 사회운동가, 안내자이자 지도자였다"라며 "오랜 친구여, 우리는 당신이 너무나 그리울 것"이라고 추모했다.
무히카 전 대통령은 지난해 4월 식도암 진단을 받고 투병하다가 암세포가 간으로 전이됐다. 그는 "몸이 견디지 못할 것 같다"며 올해 1월 항암 치료를 중단했고, 이후 부인 루시아 토폴란스키 여사와 함께 교외 자택에서 지내왔다.
1935년 5월 20일 우루과이 수도 몬테비데오에서 태어난 무히카 전 대통령은 우루과이 국민들에게 '페페'(스페인어로 할아버지를 의미)로 불리며 큰 사랑을 받았다.
그는 1960∼1970년대 군정 등에 맞서 '투파마로스'라고 부르는 좌파 무장·시위 게릴라 단체에서 활동하고 15년가량 수감 생활을 했다. 이후 사면을 받은 그는 정치에 뛰어들어 좌파 성향 정당 국민참여운동(MPP)을 이끌며 국회의원과 축산농림수산부 장관을 지냈다.
2009년 대선에서 우루과이 46대 대통령으로 당선된 그는 경제 발전과 빈곤 감소에 크게 기여했다. 그의 재임 기간 우루과이의 빈곤율은 40%에서 11%로 줄었고, 실업률은 13%에서 7%로 감소했다. 또한 임신 중지, 동성결혼, 마리화나 시장 등을 합법화했다.
무히카 전 대통령은 소득 90%를 빈곤퇴치 이니셔티브에 기부하거나, 1987년형 하늘색 폴크스바겐 비틀을 타고 다니는 검소한 모습으로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대통령'으로 불렸다.
그는 또한 "삶에는 가격 라벨이 붙어 있지 않으니 나는 가난하지 않다", "권력은 사람을 변화시키지 못하며, 단지 그 사람의 진짜 모습을 드러낼 뿐", "유일하게 건강한 중독은 사랑의 중독", "전사는 쉴 권리가 있다" 등 현실 정치와 세계관을 웅변하는 시적인 어록을 남겼다.
임종 준비하며 그는 "나와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을 존중하기는 쉽지만, 민주주의의 기초는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존중이라는 것을 배워야 한다"고 설파했다.
현지 일간 엘옵세르바도르는 무히카 전 대통령을 '세계의 끝에서 등장한 설교자'라고 표현하며 "무히카 행정부에 대한 국내 평가는 다소 엇갈리지만, 고인의 반소비주의적 수사와 소박한 생활은 국내·외에서 많은 주목을 받으며 우루과이 정치인으로선 드물게 대중적 인기를 얻었다"고 짚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