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정치권과 금융권에 따르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각각 내세운 '공정 경제', '서민 경제'는 상생 금융을 기반으로 한 개념이다.
이 후보는 △소상공인 내일채움공제 도입 △배드뱅크 설치 △폐업 시 대출금 일시상환 유예 요건 완화 △대환대출 활성화 및 중도상환수수료 단계적 감면 △대출상환 부담 완화 등을 약속했다.
김 후보는 △소상공인 자영업자 지원단 설치 △매출액 급감 소상공업인에 대한 생계방패 특별융자 △경영안정자금 지원 확대 △소상공인 새출발 희망프로젝트 지원금 확대 △소상공인 생애주기별 자금지원 패키지화 등을 내걸었다.
특히 이 후보 공약에서는 은행과 자산관리공사가 공동으로 설립하는 배드뱅크 도입이 언급돼 부담을 더 키울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배드뱅크는 신용불량자의 빚(부실 채권)을 금융기관에서 싼값에 넘겨받아 이를 회수하거나 팔아버리는 금융회사다. 다만 악성채권을 넘겨받으면 금융회사로서 받지 못하는 돈이 많아지니 손해를 볼 수 있는 구조다.
두 후보의 청년 지원책에도 금융권의 희생이 동반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 후보는 청년미래적금 도입을, 김 후보는 청년 생활비 대출 확대를 내걸었다. 청년들이 짧은 기간 내에 많은 금액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하려면, 높은 금리로 상품을 제공해야 한다.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최고 금리는 6%다. 은행으로서는 팔수록 손해를 보는 상품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전세자금 대출, 신용대출 우대혜택 등 은행이 직간접적인 지원을 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업계는 정부의 상생금융 요구에는 어느 정도 공감하나, 규모와 지원 기준에 대해서는 치열한 사전 논의가 동반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정부 측에서도 가산금리 지원 등 2차 보전을 함께 해주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