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되살린 녹두꽃의 외침" 제131주년 동학농민혁명 기념식 개최

동학농민운동 기념공원 황토현전적지 동상 사진동학농민운동 기념재단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 황토현전적지 동상 [사진=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과 함께 전북 정읍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에서 11일‘제131주년 동학농민혁명 기념식’을 개최했다.

1894년도에 일어난 ‘동학농민혁명’은 낡은 봉건제도 아래 신음하던 농민들이 부당한 현실과 외세의 침략에 자주적으로 대항한 역사적 사건이다. 동학농민혁명 기념식은 동학농민혁명군이 관군과 일본군을 상대로 최초로 승리한 황토현 전승일인 5월 11일을 2019년에 국가기념일로 지정한 이후, 매년 정부 기념식으로 거행되고 있다. 

올해 기념식에서는 ‘녹두꽃의 외침, 함께 사는 세상’을 주제로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의 유족과 관계자, 국민 등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동학농민혁명의 역사적 의미를 재조명했다. 

또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주제 영상 상영과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유족통지서 전달식이 진행됐다. 이어 유족 대표 등이 ‘동학농민혁명’이 일어난 배경과 목표를 담은 무장포고문을 낭독하고 국악인 김주리 씨가 한국무용 공연과 함께 동학농민혁명을 상징하는 ‘새야 새야 파랑새야’를 불렀다. 1894년 동학농민혁명 운동의 발자취를 인공지능을 활용해 영상으로 복원하기도 했다.

한편, 문체부는 2004년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등의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 제정 이후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3913명과 유족 1만3761명을 등록했다. 

유인촌 장관은 “동학농민혁명의 평등과 존엄의 정신은 오늘날까지 온 국민이 불굴의 의지로 위기를 극복하고 대한민국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힘의 원천이 됐다”면서 “문체부는 앞으로 동학농민혁명의 숭고한 정신이 삶과 문화 속에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