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버지 영정을 처음 본 순간) 가슴이 멍하면서...이분이었구나 순간 생각이 들었습니다. 예전에 작은 아버지가 아버지하고 비슷하다고 들었는데 정말 그런 것 같아요.”
송재숙(76)씨가 8일 6·25 전쟁에서 전사한 아버지 고(故) 송영환 일병의 흑백 영정을 처음 본 순간의 마음을 전했다.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함께 추진해온 6·25 전사자 유해 얼굴복원 사업 첫 사례를 이날 공개했다.
1924년생인 고인은 1950년 12월 자원입대해 이듬해 3월 국군 9사단 29연대 소속으로 정선 전투에 참전했다가 총상을 입고 전사했다. 그의 유해는 2013년 강원도 동해 망상동에서 발굴됐고, 지난해 10월 신원이 최종 확인됐다.
국유단은 어버이날을 맞아 고인의 외동딸 송재숙씨에게 아버지의 유해를 바탕으로 완성한 '2D 표준영정'과 감사패를 전달했다.
국유단은 지난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6·25 전사자 유해 얼굴복원 사업을 추진해왔다. 유해 상태가 비교적 양호해 복원이 가능한 두개골 4구를 선정했고, 첫 번째 복원 대상자로 고인의 유해가 선정됐다.
국과수는 실종자 얼굴 복원 방식과 같이 컴퓨터단층촬영(CT) 사진을 바탕으로 최초 두개골 상태에 근육을 하나하나 붙여가며 생전 얼굴을 복원하는 과정을 거쳤다.
송씨는 “지금 생각해보면 저 세살 때 아버지가 군에 들어 가셨는데 그때 아버지의 발이 떨어졌을까 하는 생각도 들고 임종하셨을 때는 또 어떤 심정이었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며 “한편으로는 아버지가 나라를 위해 헌신해서 내게 이런 영광을 주시는구나 하는 생각도 했다”며 그리움을 전했다.
이근원 국유단장은 “호국영웅 얼굴 복원은 목숨을 바쳐 나라를 지켜낸 분들의 명예를 선양하고 유가족 아픔을 위로하는 방식”이라며 “앞으로도 6·25 전사자가 생전의 얼굴을 되찾을 수 있도록 국과수와 긴밀하게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송재숙(76)씨가 8일 6·25 전쟁에서 전사한 아버지 고(故) 송영환 일병의 흑백 영정을 처음 본 순간의 마음을 전했다.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함께 추진해온 6·25 전사자 유해 얼굴복원 사업 첫 사례를 이날 공개했다.
1924년생인 고인은 1950년 12월 자원입대해 이듬해 3월 국군 9사단 29연대 소속으로 정선 전투에 참전했다가 총상을 입고 전사했다. 그의 유해는 2013년 강원도 동해 망상동에서 발굴됐고, 지난해 10월 신원이 최종 확인됐다.
국유단은 어버이날을 맞아 고인의 외동딸 송재숙씨에게 아버지의 유해를 바탕으로 완성한 '2D 표준영정'과 감사패를 전달했다.
국유단은 지난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6·25 전사자 유해 얼굴복원 사업을 추진해왔다. 유해 상태가 비교적 양호해 복원이 가능한 두개골 4구를 선정했고, 첫 번째 복원 대상자로 고인의 유해가 선정됐다.
국과수는 실종자 얼굴 복원 방식과 같이 컴퓨터단층촬영(CT) 사진을 바탕으로 최초 두개골 상태에 근육을 하나하나 붙여가며 생전 얼굴을 복원하는 과정을 거쳤다.
송씨는 “지금 생각해보면 저 세살 때 아버지가 군에 들어 가셨는데 그때 아버지의 발이 떨어졌을까 하는 생각도 들고 임종하셨을 때는 또 어떤 심정이었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며 “한편으로는 아버지가 나라를 위해 헌신해서 내게 이런 영광을 주시는구나 하는 생각도 했다”며 그리움을 전했다.
이근원 국유단장은 “호국영웅 얼굴 복원은 목숨을 바쳐 나라를 지켜낸 분들의 명예를 선양하고 유가족 아픔을 위로하는 방식”이라며 “앞으로도 6·25 전사자가 생전의 얼굴을 되찾을 수 있도록 국과수와 긴밀하게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