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서 '중소기업인대회' 개최... 김기문 "민·관 합동 글로벌 진출 지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윤섭 기자
입력 2024-05-23 21:14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올해 35회째를 맞은 국내 중소기업계 최대 행사인 '대한민국 중소기업인 대회'가 3년 연속 용산 대통령실 잔디마당에서 개최됐다.

    윤석열 대통령은 김기문 중기중앙회장과 중기부·외교부 장관, 대기업 총수, 해외 한상기업 대표, 중소기업인이 함께 참여하는 '글로벌 원팀호(號)' 출항식을 가졌는데, 정부·대기업·재외동포 기업이 중소기업의 글로벌화를 위한 영업사원이 되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이 이 자리에서 "중소기업은 우리나라 기업의 99%를 차지하는 경제의 중추이면서 근로자 80%가 땀 흘려 일하는 소중한 일터"라며 "저와 정부는 우리 중소기업들이 더욱 성장할 수 있도록 규제를 혁신하고,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계속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하고 "세계 시장에 진출할 경쟁력을 갖춘 중소기업과 벤처기업, 스타트업을 열심히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고 전했다.

  • 글자크기 설정
  • "중소기업도 내수 넘어 글로벌 전문기업으로 거듭나야"

사진연합뉴스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이 2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잔디마당에서 열린 '2024 대한민국 중소기업인대회'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올해 35회째를 맞은 국내 중소기업계 최대 행사인 '대한민국 중소기업인 대회'가 3년 연속 용산 대통령실 잔디마당에서 개최됐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중앙회는 2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잔디마당에서 ‘2024년 대한민국 중소기업인대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중소기업인대회에는 윤석열 대통령을 포함해 11개 부처 장관과 삼성 이재용 회장 등 6대 대기업 총수, 중소기업 유관단체, 수출중소기업인 등 전국 각지에서 500여 명이 참석했다. 특히 '중소기업 글로벌화'라는 주제에 맞게 대회 최초로 우리 중소기업과 무역 및 외국인력 활용 등 교류가 활발한 12개국의 주한 대사가 함께 참석해 수출 중소기업인들과 소통하는 자리를 가졌다.

윤석열 대통령은 김기문 중기중앙회장과 중기부·외교부 장관, 대기업 총수, 해외 한상기업 대표, 중소기업인이 함께 참여하는 ‘글로벌 원팀호(號)’ 출항식을 가졌는데, 정부·대기업·재외동포 기업이 중소기업의 글로벌화를 위한 영업사원이 되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이 이 자리에서 "중소기업은 우리나라 기업의 99%를 차지하는 경제의 중추이면서 근로자 80%가 땀 흘려 일하는 소중한 일터"라며 "저와 정부는 우리 중소기업들이 더욱 성장할 수 있도록 규제를 혁신하고,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계속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하고 "세계 시장에 진출할 경쟁력을 갖춘 중소기업과 벤처기업, 스타트업을 열심히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고 전했다.

부대행사로는 중소기업이 생산해 해외에서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는 K푸드라인이 마련돼 냉동김밥, 떡볶이, 김스낵 등을 참석자들이 시식했고, 국내외 MZ세대에게 인기를 끌고 있는 셀프 즉석사진 스튜디오가 설치돼 참여자들이 직접 사진을 남기는 K-문화 체험 코너도 마련됐다.

이번 대회에서는 수출 확대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 모범중소기업인, 모범근로자, 육성공로자, 우수단체에 금탑산업훈장 등 총 92점의 정부포상도 수여했다.

김기문 중기중앙회 회장은 이날 개회사에서 "재외공관이 중소기업의 수출전진기지 역할을 하고, 대기업과 재외동포 경제인들은 현지 네트워크와 인프라를 바탕으로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해야 한다"며 "중소기업도 내수를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하는 전문기업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윤석열 대통령에게 "정부가 예산 한 푼 들이지 않고 경제를 살리는 가장 좋은 방법이 규제혁신인 만큼, 중기중앙회를 방문해 중소기업 규제혁신 대토론회를 해달라"고 제안했다.

오는 30일 시작되는 22대 국회에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이 공포에 떨고 있는 중대재해처벌법의 보완과 기업 상황에 맞는 근로 시간 유연화를 가장 먼저 해결해 줄 것을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