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아파트값 '우상향', 25년간 연평균 6.7% 올랐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윤섭 기자
입력 2024-05-16 10:31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수도권 아파트 가격이 지난 25년간 연평균 6.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가 KB부동산 주택가격동향 자료를 토대로 1999년 통계 공개 이후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 증감률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 집값은 25년 중 18년은 상승하고 7년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값이 상승한 18년 중 6년은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 글자크기 설정
  • 25년 중 18년 상승, 7년 하락

사진연합뉴스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단지. [사진=연합뉴스]

수도권 아파트 가격이 지난 25년간 연평균 6.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가 KB부동산 주택가격동향 자료를 토대로 1999년 통계 공개 이후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 증감률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 집값은 25년 중 18년은 상승하고 7년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값이 상승한 18년 중 6년은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가장 많이 오른 해는 2002년으로 전년 말 대비 29.2% 뛰었다. 당시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와 외환위기 이후 경기 회복세가 맞물리며 집값이 크게 오른 것으로 풀이된다.
 
사진부동산인포
[사진=부동산인포]

반면 집값이 가장 크게 하락한 해는 지난해로, 전년 말 대비 8.0% 떨어졌다.

또 2020년 1월에 집을 사서 올해 1월까지 보유했다면 집값이 평균 1.22배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1월에 샀다면 1.39배, 2015년 1월에 매수했다면 1.48배 가격 상승을 거둔 것으로 나타나 수도권 아파트의 경우 구매 시점도 중요한 것으로 해석된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 팀장은 "수도권 아파트 가격은 오를 때는 많이 오르고 내릴 때는 소폭으로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다"며 "국내 부동산 시장이 부침을 겪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우상향 경향이 뚜렷하다는 점도 확인됐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