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정부가 대(對)러시아 수출 금지 품목을 늘리기로 한 가운데 러시아에서는 현지 자동차 시장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수출 금지 품목에 배기량 2000cc 이상의 중대형 승용차가 추가됐기 때문이다. 한국 자동차 대안으로 중국산 자동차를 수입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러시아 매체 RBC는 한국 정부의 수출 금지 조치에 따라 러시아에서 인기 있는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모델인 현대 투싼과 싼타페, 기아 쏘렌토와 스포티지 등의 러시아 수출도 금지된다고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에 따라 러시아 수입 자동차 판매 업체와 소비자 등이 피해를 볼 것이란 분석이다.
이 전문가는 이어 “(한국 자동차) 가격이 상승하고 선택지가 줄어들면 소비자들에게 득 될 게 없다”면서 “중국 브랜드 자동차나 중국에서 생산한 일본·유럽 브랜드 자동차가 유일한 대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러시아 극동 세관을 통해 수입된 한국산 자동차는 러시아 전체 물량의 8.5%를 차지한다고 매체는 짚었다
수출이 불가해진 건 한국산 자동차뿐만이 아니다. 러시아 수출이 금지된 일본 자동차들 역시 한국을 통해 들어왔기 때문이다. 한국의 추가 제재로 우회 수입 통로도 막힌 것이다.
매체는 또한 한국의 수출 금지 조치가 극동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항과 강원도 동해·속초항을 오가며 승객과 자동차, 화물 등을 실어 나르는 한국 업체의 카페리 운항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카페리가 자동차를 운송할 수 없게 되면 수익 악화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6일 국제사회의 대러시아 수출 통제 공조를 위해 군사 목적으로 전용 가능한 682개 품목을 상황허가 대상에 추가하는 ‘제33차 전략물자 수출입 고시’ 개정안을 행정 예고했다.
이번 조치는 내년 1월 15일부터 시행되며 상황허가 대상 품목은 총 1159개로 확대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