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회 한일지사회의 개최...한·일 간 협력의 새로운 지평 열어갈 것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안동=최주호 기자
입력 2023-11-01 16:3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한국 5, 일본 11개 지방정부 단체장 한자리에 모여...6년 만에 재개

  • 한일 공통과제 해결을 위한 의견 교환...양국 교류 협력 증진 급물살

한일지사회의 기념 식수 장면 사지경상북도
한일지사회의 기념 식수 장면 [사지=경상북도]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장인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10월 31~11월 3일까지 3박 4일 간 야마나시현에서 개최되는 제7회 한일지사회의에 참석해 양국 지방 정부의 공통 현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고 1일 밝혔다.
 
6년 만에 일본 야마나시현에서 개최되는 한일지사회의는 1999년 이후 2년마다 양국이 번갈아 개최해 왔으나, 2017년 11월 부산을 마지막으로 코로나19 및 한일 관계 악화로 중단됐다.
 
올해 1월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장인 이철우 경북도지사와 일본전국지사회장(돗토리현 히라이 신지 지사)이 만나 한일지사회의 개최를 전격 합의한 데 따른 것으로 한일 양국 지방 정부에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됐다.
 
이번 한일지사회의에는 한국에서는 경북, 인천, 세종, 강원, 전북의 5개 단체장이, 일본은 무라이 요시히로 미야기현(현 전국지사회장 지자체)을 비롯해 도치기, 야마나시, 시즈오카, 시가, 돗토리, 오카야마, 히로시마현 지사와 나가노, 교토, 후쿠오카 부지사 등 11개 단체장(부단체장)과 한자리에 마주 앉았다.
 
11월 1일 개최된 한일지사회의에서는 저출산‧고령화, 지방 균형 발전, 한일 지자체 간 협력 등의 테마를 선정해 자유 토론을 통해 각 지방 정부가 갖고 있는 당면 현안 사항 및 문제점을 공유하고 함께 해결 방안을 모색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한일 지방 정부 간 교류와 협력을 위한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공동성명서’를 발표했으며, 2025년 한일 양국의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기념해 제8회 한일 지사회의를 한국에서 개최키로 합의했다.
 
11월 2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타케다 료타 간사장을 면담한 자리에서 이철우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장(경북도지사)은 지난 3월 윤석열 대통령의 일본 방문과 5월 총리의 한국 방문으로 양국 간 셔틀외교 복원에 대한 깊은 감사를 표한다.
 
덧붙여, 한일지사회의 결과를 설명하면서 한일 정상 간의 한일 관계 개선에 대한 일본의 적극적인 노력에 대해 사의를 표하는 등 광폭의 지방 외교를 소화해 그동안 경색된 국가 및 지방간 교류 협력에 큰 물꼬를 튼 것으로 평가된다.
 
이철우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장(경북도지사)은 “북핵 위협과 국가 간 갈등 및 전쟁 등으로 한층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는 동북아시아에서 한일 양국 관계 개선은 필수 불가결하며, 양국 지방 정부에 가장 중요한 과제인 저출산 고령화, 지방 균형 발전과 한일 간 협력 등 공통 문제 해결에 대해 더 많이 고민하고 공동 협력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술과 친구는 오래될수록 좋다는 말이 있듯이, 오랜 세월 동안 양국은 다양한 분야에서 끊임없는 교류를 추진해 온 만큼 오늘의 만남을 계기로 양국 지방 정부의 인적·물적 교류가 더욱 급물살을 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한일지사회의는 1998년 2월 김대중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한 당시 일본 전국지사회장 쓰치야 요시히코 사이타마현 지사가 양국 지자체 간 교류를 제안해 처음 논의됐다.
 
1999년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가 구성되면서 양국 지방 정부 간 교류 증진 및 공동 협력 방안을 위해 창립됐다. 우리나라 17개 광역 시·도 지사와 일본 47개 도·도·부·현 지사가 참여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